인간관계에 있어 사귀면 좋은 사람과 사귀지 말았어야 할 사람이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삶을 윤택하게 하지만, 후자의 경우에는 삶을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이와 관계되는 인간관계 사자성어를 알아보겠습니다.

 

인간관계 사자성어

인간관계 사자성어 : 

인자무적 (仁者無敵)

인자무적 (仁者無敵) 뜻

仁(어질 인)者(놈 자)無(없을 무)敵(원수 적)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라는 뜻입니다. 출전은 '맹자'입니다. 맹자가 처음으로 유세에 나서 양혜왕과 대담하는 과정에서 유래된 사자성어입니다. '맹자'의 내용입니다.

 

양나라 혜왕이 맹자에게 묻습니다. “예전에는 천하를 호령하던 진(晉)나라가 지금에 이르러서는 주위 나라들에게 땅을 빼앗기는 수모를 겪고 있습니다. 과인은 이를 수치로 여겨 그들을 물리치고자 합니다. 방법이 없겠습니까?”
이에 맹자가 말하지요.
“만일 대왕께서 어진 정치를 베푼다면 이 땅의 모든 사내들은 몽둥이 밖에 든 것이 없다 할지라도 갑옷을 입고 칼을 든 적군을 물리칠 것입니다. 옛말에 ‘어진 사람에게는 대적할 자가 없다’고 한 것은 바로 이런 경우를 일컫습니다.”


인자무적 (仁者無敵)이란 표현은 많은 곳에서 인용되고 있습니다. 인자무적 (仁者無敵)의 의미는 이런 것이 아닐까요? 어질지 못하면 적이 생긴다. 즉 남을 미워하거나 싫어하면 상대방도 그렇지 않을까요? 우리의 내면이 겸손하고 이 겸손이 선이란 뿌리로 지탱한다면 인자무적 (仁者無敵)한 사람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인간관계 사자성어 : 원증회고(怨憎會苦)

원증회고(怨憎會苦) 뜻

 

怨(원망할 원)憎(미워할 증)會(만날 회)苦(쓸 고)

 

출천은 불고의 法華經(법화경) 입니다. 뜻을 풀이하면 원한을 품어 미워하는 자와 만나는 괴로움으로서, 불교에서 말하는 八苦(팔고)의 하나입니다. 원증회고는 八苦(팔고) 중에서 6번째 내용입니다. 八苦(팔고)를 보다보니 태어나는 것도 불고에서는 괴로움이라고 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태어나서 살아가는 것도 괴로움으로 보는지, 필자의 깊이가 얕아 이것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나머지 괴로움은 충분히 이해가 가는 것입니다.  


八苦(팔고) : 중생이 겪는 8가지의 괴로움을 말합니다. 그 괴로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생고(生苦). 이 세상에 태어나는 괴로움.
(2) 노고(老苦). 늙어 가는 괴로움.
(3) 병고(病苦). 병으로 겪는 괴로움.
(4) 사고(死苦). 죽어야 하는 괴로움.
(5) 애별리고(愛別離苦).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 하는 괴로움.
(6) 원증회고(怨憎會苦). 미워하는 사람과 만나거나 살아야 하는 괴로움.
(7) 구부득고(求不得苦). 구하여도 얻지 못하는 괴로움.
(8) 오성음고(五盛陰苦). 색(色)·수(受)·상(想)·행(行)·식(識)의 오음(五陰)에 탐욕과 집착이 번성하므로 괴로움.

 


 

누구나 한 번 정도는 원증회고(怨憎會苦)를 겪어 보지 않았을까요? 물론 이런 일은 없으면 좋겠지만요. 처음부터 만나지 말아야 할 인연이라면 그냥 스쳐 지나가는 것도 삶의 지혜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리고 교언영색으로 사람을 현혹하는 사람은 더 더욱 만나지 말아야겠지요. 그 그통을 꽤 오래갑니다.

■ 오늘의 사자성어

 

▶ 일모도원(日暮途遠) 뜻과 유래

 

日暮途遠 :  날 일, 저물 모, 길 도, 멀 원

날은 저물고 가야 할 길은 멀다.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즉 몸은 늙고 쇠약한데 아직도 해야 할 일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 일모도원(日暮途遠) 유래

 

전국시기, 오사(伍奢)와 비무기(費無忌)는 모두 초평왕(楚平王)의 태자 건(建)의 스승이었는데, 비무기는 계략에 능하고 음흉한 사람이었다. 그는 태자 건의 혼인문제로 태자가 자기에게 보복할까 두려워, 태자에게 충성하는 오사와 오상 등을 죽였다. 오사의 아들인 오자서는 오(吳)나라로 도망하여 복수를 결심했다.

 

그는 오왕 합려(闔閭)에게 제의하여 초나라의 도성인 영( )을 공략했다. 이때, 초나라는 평왕 의 아들 소왕(昭王)이 왕위에 있었는데, 그는 공격을 피해 도망해 버렸다. 소왕을 놓친 오자서는 대신 초평왕의 무덤에서 그의 시체를 끌어내어 3백번이나 매질을 하였다.

 

오자서의 친구 신포서는 이를 너무 가혹한 짓이라고 그를 꾸짖었다. 오자 서는 그에게 말했다. 해는 저물고 갈길은 아직 멀고, 나는 초조한 나머지 도리에 따를 수만은 없었서 그만 도리에 어긋난 일을 하였다네. 日暮途遠 이란 시간은 다 되어가는데 할 일은 아직 많음 을 비유한 말이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 〈오자서열전(伍子胥列傳)〉》에 나온다.

 

‘일모도원’과 비슷한 말로는, 날은 저물고 길은 다했다는 뜻으로 말로가 닥쳐온 것을 비유하는 말인 ‘일모도궁(日暮途窮)’, ‘궁도모일(窮途暮日)’ ‘궁도말로(窮途末路)’ 등이 있다. 이 이야기에서 ‘도행역시(倒行逆施)’도 유래했다.

 

■ 오늘의 고사성어 사기(史記)

 

오늘의 고사성어는 사기(史記)에 나오는 고사성어입니다. '가빈사양처'와 '계구우후'에 대한 뜻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家(집 가) 貧(가난할 빈) 思(생각할 사) 良(좋을 량) 妻(아내 처)

 

사기史記 위세가魏世家에는 위나라 문후文侯가 재상 임명을 위해 이극(李克)에 게 자문을 요청하면서 나눈 대화가 기록되어 있다. 위문후는 이극에게 말하길, 선생께서 과인에게 말씀하시길 집안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그리게 되고, 나라가 혼란하면 훌륭한 재상을 그리게 된다(家貧思良妻, 國亂思良相) 라고 하셨습니다.

 

제 동생인 성자(成子)와 적황(翟璜) 중, 어떤 이 가 적합합니까? 라고 하였다. 이에 이극은 문후에게 다음과 같은 다섯가지 사항 을 진언한다. 평소에 지낼 때는 그의 가까운 사람을 살피고, 부귀할 때에는 그와 왕래가 있는 사람을 살피고, 관직에 있을 때에는 그가 천거한 사람을 살피고, 곤 궁할 때에는 그가 하지 않는 일을 살피고, 어려울 때에는 그가 취하지 않는 것을 살피십시오.

 

위나라 재상이 된 사람은 바로 성자(成子)였다. 비록 문후의 동생이었지만, 그는 자신의 소득 중 10%만을 생활에 쓰고, 나머지 90%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사용 하였다. 어진 아내 로서의 역할을 하였고 어진 재상 으로서도 적임자였던 것이 다. 家貧思良妻 나 國亂思良相 이라는 말은 모두 어려운 시기에는 유능하고 어진 인재가 필요하게 된다 것을 뜻한다.

 

 

鷄口牛後(계구우후)

鷄(닭 계) 口(입 구) 牛(소 우) 後(뒤 후)

 

사기(史記) 소진열전(蘇秦列傳)에는 전국(戰國)시대의 모사(謀士) 소진의 일화가 실려 있다. 소진은 합종책(合從策)으로 입신(立身)하려는 야심을 가지고 진(秦)나 라 혜왕, 조(趙)나라의 재상인 봉양군 등을 만나 보았으나 환영 받지 못하였다.

 

그는 다시 연(燕)나라로 가서 문후(文侯)를 만나, 연나라가 조(趙)나라와 맹약을 맺어 진나라에 대항해야한다는 합종의 계획을 말하였다. 문후의 후한 사례에 고 무된 소진은 얼마 후 한(韓)나라에 가게 되었는데, 그는 한나라의 선혜왕(宣惠王) 을 만나 진나라를 섬기지 말 것을 권고하며 다음과 같이 유세하였다.

 

이번 기회 에 남북으로 연합하는 합종책으로써 진나라의 동진(東進)을 막아보십시오. 옛말에 차라리 닭의 입이 될지언정 소의 꼬리는 되지말라(寧爲鷄口無爲牛後). 고 하였습 니다. 마침내 선혜왕은 소진의 권유를 받아 들였다. 나머지 다섯 나라들도 그에게 설 복되었으며, 결국 소진은 6국의 재상을 겸임하게 되었다.

 

鷄口牛後 란 큰 집단의 말단보다는 작은 조직의 우두머리가 낫다 는 것을 뜻 한다. 이제 대선(大選)이 가까워지면서 鷄口 가 되려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맛으로 치자면 꼬리곰탕 이 훨씬 나은 것을 말한다.

 

■ 쉬운 사자성어 고사성어

 

▶ 쉬운 사자성어

 

사자성어와 고사성어의 차이는 뜻 그대로 읽느냐, 아니면 뜻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느냐에 따라 사자성어와 고사성어라 한다. 사자성어는 고사성어를 포함하는 큰 범위이며 고사성어는 뜻과 관련된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것이다. 이 부분이 헷갈린다면 사자성어로 통일해도 무관하다.

 

 

▶ 호가호위(狐假虎威) 狐(여우 호) 假(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

여우 뒤엔 호랑이가 있었다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는 기원전 4세기 초, 중국의 전국시대 초나라의 선왕(宣王)이 위(魏)나라 출신의 신하인 강을(江乙)에게 북방 강대국들이 초나라 재상(宰相) 소해휼(昭奚恤)을 두려워 하는 이유를 묻는 대목이 실려 있다. 강을은 여우와 호랑이의 고사 를 인용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즉, 짐승들 이 두려워 한 것은 여우가 아니라 그의 뒤에 있던 호랑이였다는 것이다. 이는 북 방의 여러 나라들이 두려워 하는 것이 재상 소해휼이 아니라 그 배후에 있는 선 왕의 강병(强兵)임을 비유한 것이었다. 이렇듯 狐假虎威 란 아무 실력도 없으면서 다른 사람의 권세나 배경을 빌어 위세 부리는 사람 을 비유한 말이다.

 

狐假虎威 를 일러 영어로는 an ass in the lion's skin(사자의 탈을 쓴 나귀) 이라고 하였던가. 하지만 죽은 사자의 탈을 쓴 나귀보다는 살아있는 호랑이를 꼬여 뭇 짐승들을 속인 여우쪽이 훨씬 교활하고 가증스럽다. 여우 같은 사람과 여우의 잔꾀에 속아 넘어간 눈먼 호랑이 때문에 지금 우리 사회는 전에 없이 뒤숭숭한 것이다.

 

▶ 烏鳥私情(오조사정) 烏(까마귀 오) 鳥(새 조) 私(사사 사) 情(뜻 정)

할머니를 모시는 손자의 효심

 

진(晋)나라 사람 이밀(李密)이 쓴 <진정표陳情表>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실 려있다. 이 글은 조모 유씨의 병세가 위독하여 이밀이 부득이 관직을 사양하게 됨을 황제께 고하는 글이다. 저는 조모가 안계셨더라면 오늘에 이를 수 없었을 것이며, 조모께서는 제가 없 으면 여생을 마칠 수 없을 것입니다. 저는 금년 44세이고, 조모 유씨는 96세이니, 제가 폐하게 충성을 다할 날은 길고 조모 유씨에게 은혜를 보답할 날은 짧습니다.

 

까마귀가 어미새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마음으로 조모가 돌아가시는 날 까지 만 봉양하게 해 주십시오(烏鳥私情, 願乞終養). 이밀은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 하씨가 개가하자, 할머니의 손에서 자랐으 며, 효심이 두터워서 할머니의 병 간호를 하고자 황제가 내린 관직을 물리쳤다. 烏鳥私情 이란 까마귀가 자라면 그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이듯 그처럼 부 모를 모시는 지극한 효심 을 이르는 말이다.

 

옛부터 제갈량의 <출사표出師表>를 읽지 않으면 충신이 아니고, 이밀의 <陳情表>를 읽지 않으면 효자가 아니라고 하였다. 손자의 카네이션 한 송이가 돋보이는 특별한 어버이날이 되었으면 좋겠다.

 

▶ 西施 目(서시빈목) 西(서녘 서) 施(베풀 시) (찡그릴 빈) 目(눈 목)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莊子 <천운편天運篇>에는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미인인 서시(西施)의 이야 기가 나온다. 줄거리는 대략 이러하다. 서시가 가슴을 앓아 눈을 찡그리고 있으 니, 그 마을의 다른 추녀(醜女)가 이를 보고 아름답다고 여기고, 집으로 돌아와서 역시 가슴에 손을 얹고 눈을 찡그렸다(西施病心而 , 其里之醜人, 見而美之, 歸亦捧心而 ). 그 결과 어떤 이는 문을 닫고 밖으로 나오지 않았고, 어떤 이들은 아 예 그 마을을 떠나버렸다.

 

이 이야기는 공자의 제자인 안연과 악관(樂官)인 金 이라는 사람이 나누는 대 화중에 나온다. 장자는 당시 주(周)왕조에서 이상정치를 재현하려는 것을 서시의 찌푸림을 본받는 추녀의 행동같은 것으로서 사람들의 놀림받는 쓸데 없는 짓이라 여겼던 것이다.

 

西施 目(서시가 눈을 찡그리다) 이란 아무런 비판 없이 남을 흉내 내는 것 을 비유한 것이며, 효빈(效 :눈쌀 찌푸림을 흉내내다) 이라고도 한다. 맹신(盲信)과 맹목적 추종은 그 추녀다운 사고 방식이다. 중요한 것은 유행에 민감해지 는 것이 아니라 타당한 주관(主觀)과 합리적 비판에 더욱 강해지는 것이다.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苛(매울 가) 政(정사 정) 猛(사나울 맹) 於(어조사 어) 虎(범 호)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것

 

예기(禮記) 단궁편檀弓篇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실려있다.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태산 기슭을 지나고 있는데, 한 부인이 무덥 앞에서 울며 슬퍼하고 있었다. 공자는 제자인 자로에게 그 까닭을 묻게 하였다. 그 부인은 대답하길 오래전에 시아버님이 호랑이게 죽음을 당하였고, 저의 남편 또한 호랑이에게 변을 당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저의 아들마저 호랑이게 목숨을 잃게 되었답니다. 라고 하였다. 그곳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를 묻는 말에 그 부인은 가혹한 정치가 없기 때문입니다(無苛政). 라고 짧게 대답하였다.

 

자로의 말을 듣은 공자는 제자들에게 잘 알아두어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서운 것이다(苛政猛於虎也). 라고 하였다. 춘추 말엽 노(魯)나라의 대부 계손자(系孫子)의 폭정으로 고통받던 백성들은 차 라리 호랑이에게 물려죽는 쪽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苛政 이란 번거롭고 잔혹 한 정치 를 뜻한다. 政 을 徵(징) 의 차용으로 보아 번거롭고 무서운 세금과 노역 의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잔혹한 정치, 무거운 세금이나 노역은, 결국 예나 지금이나 백성들에게는 호랑이보다 무서운 것들이다.

 

 

■ 좋은 한자성어 모음

 

▶ 오늘의 한자성어

 

오늘의 한자성어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좋은 한자성어 모음입니다.

 

 

▶ 신출귀몰(神出鬼沒) 神(귀신 신) 出(날 출) 鬼(귀신 귀) 沒(없어질 몰)

동에 번쩍, 서에 캄캄

 

회남자淮南子 <병략훈兵略訓>에는 교묘한 자의 움직임은 신이 나타나고 귀신이 걸어가는 듯하며(神出而鬼行), 별이 빛나고 하늘이 운행하는 것 같아, 진 퇴 굴신의 조짐도 나타나지 않고 한계도 없어, 난조(鸞鳥:전설 속의 새이름)가 일 어나듯, 기린이 떨치고 일나는 듯, 봉황새가 날 듯, 용이 오르듯, 추풍과 같이 출 발하여 놀란 용과 같이 빠르다. 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서 는 적으로 하여금 어떠한 정보도 얻지 못하도록 철저한 보안 유지나 위장이 필요 하다는 뜻이다. 神出鬼沒 이란 바로 神出而鬼行 이라는 구절에서 연유된 말이다. 아무도 모르게 귀신처럼 나타났다 사라진다는 뜻이며, 행동이 신속하고 그 변화가 심하여 헤 아릴 수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옛날 동에 번쩍, 서에 번쩍 神出鬼沒 했던 홍길동의 출생지를 놓고 요즈음 관 련 지방 자치단체들의 논쟁이 매우 진지하다.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일 것이라는 사실도 흥미롭거니와, 귀신 같은 양반을 서로 모시겠다고 열을 올리는 후손들의 길동 할아버지 에 대한 존경심은 시대적 해결사의 출현 을 고대하는 우리들의 속마음이 드러난 것이리라.

 

▶ 정중지와(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 蛙(개구리 와)

개구리는 짠물에서 못 산다, 우물안 개구리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황하의 신(神) 하백(河伯)은 가을 홍수로 황하의 물이 불어나자 기뻐하며 천하 의 훌륭함이 모두 자기에게 모여있다고 생각하였다. 물을 따라 동해의 북쪽 바다 에 이르자 하백은 바다의 위세에 눌려 한숨을 지었다. 그러자 북해의 신(神)인 약(若) 은, 우물 속의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 말해도 소용없는 것은 그가 좁은 곳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오(井蛙不可以語於虛也, 拘於虛也). 지금 당신은 대해를 보고 비로소 자신의 꼴불견을 깨달았으니, 이제는 대도의 이치를 말할 수 있을 것이오. 라고 하였다.

 

井中之蛙 란 우물 안의 개구리, 즉 생각이나 식견이 좁은 사람이나 세상 물정 을 모르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井蛙不知大海 라거나 井底蛙 라는 표현도 모 두 같은 의미이다. 얼마전 까지만해도 Globalization 인지 세계화 인지를 외치며 우물 안의 개 구리 소탕을 선도했던 사람을 요즘 들어선 보기 어렵다. 뜬금없이 우물 밖으로 나가라 하니, 영어 과외가 급증하지 않고 국제 공항이 붐비지 않고서야, 달리 무 슨 방법이 있겠는가.

 

▶ 조장(助長) 助(도울 조) 長(길 장)

스스로 하도록 도와주는 것

 

孟子 <공손추公孫丑>상편에는 공손추와 맹자의 문답이 실려 있다. 맹자는 호연지기(浩然之氣) 를 설명하고 나서, 순리(順理)와 의기(義氣)의 중요성을 강조 하기 위하여 송(宋)나라의 한 농부의 조급한 행동을 예로 들었다. 그 농부는 자기 가 심은 곡식 싹이 자라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그 싹들은 뽑아 올렸으나, 그 싹들은 모두 말라 죽고 말았다는 것이다.

 

무리해서라도 잘 되게 하려고 했던 농부의 행동은 오히려 무익(無益)의 정도를 넘어서 해악(害惡)이 되었던 것이다. 助長 이라는 말은 문자적으로 도와서 성장시키다 라는 좋은 뜻을 가지고 있 는 것 같지만, 사실은 쓸데없는 일을 해서 일을 모두 망쳐버리다 라는 부정적 의미가 훨씬 강하다.

 

싹과 같은 우리의 아이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그리고 과외 학원을 전전하며 뿌 리가 흔들리도록 助長 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맹자는 아이들을 가르침에 마음 을 망령되이 갖지 말며(心勿忘), 무리하여 잘 되게 하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勿助長也) 고 우리 어른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어린이날 하루 만이라도 마음껏 놀도록 아이들을 助長 해 보았으면.

 

▶ 도룡지기(屠龍之技) 屠(잡을 도) 龍(용 룡) 之(갈 지) 技(재주 기)

용의 눈물, 여기에서 그치다

 

장자莊子 <열어구편列禦寇篇>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실려있다. 장자는 주팽만은 용을 죽이는 방법을 지리익에게서 배우는데, 천금이나 되는 가산(家産)을 탕진하고 삼 년만에야 그 재주를 이루었지만 그것을 써먹을 곳이 없었다(朱 漫學屠龍於支離益, 單千金之家, 三年成技, 而無所用其巧).

 

성인은 필연 적인 일에 임할 때에도 필연으로 여기지 않으므로 마음속에 다툼이 없지만 범속 한 사람들은 이와 반대로 마음속에 다툼이 많다. 라고 말하며, 소인들은 사소로운 일에 얽매여 대도(大道)를 이룰 수 없음을 지적하였다.

 

屠龍之技 란, 곧 많은 돈과 세월을 투자하여 배웠으나 세상에서 써먹을 데가 없는 재주를 말한다. 본시 龍 이란 상상 속의 동물일뿐이니, 주팽만이 고생 끝에 배운 기술은 결국 아무런 쓸모가 없었다는 것이다. 九龍 이다 二龍 이다 해서 먼저 승천(昇天)하려고 다투는 용들이 유독 많은 것도 요즈음 들어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그들은 모두 승천하는 기술과 용 잡는 기술을 연마하는데 온 정신을 쏟고 있다. 주팽만의 屠龍之技 가 진가를 발휘하 여, 용의 눈물이 그칠 때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

 

평소에 자주 사용해 뜻을 알뜻 말뜻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은 온고지신(溫故知新), 후안무치(厚顔無恥), 난신적자(亂臣賊子)입니다.

 

온고지신과 후안무치는 자주쓰는 사자성어지만 난신적자는 다소 생소하시죠. 그러나 '무자식이 상팔자'라면 너무 많이 듣는 어구죠. 난신적자의 뜻입니다.

 

 

▶ 온고지신(溫故知新) : 溫(익힐 온) 故(옛 고) 知(알 지) 新(새 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통하여 새것을 앎

 

논어論語 <위정爲政>편에서 공자는 옛 것을 익히어 새로운 것을 알게 되 면 스승 노릇을 할 수 있다(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라고 하였다. 이는 과거와 현 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인과(因果) 관계 속에서 발전의 원리를 깨달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옛 것과 새로운 것의 관계에 대한 이분법적 시각은 대립과 단절만을 만들어낸다. 구세대와 신세대, 여기에 쉰 세대와 낀 세대, X세대와 Z세대라는 표현들은 모 두 지혜롭지 못한 생각에서 나온 말들이다. 올챙이를 한자로 과두( ) 라고 하 고, 올챙이 적을 가리켜 과두시절( 時節) 이라 한다.

 

올챙이 없는 개구리, 개 구리 없는 올챙이는 존재할 수 없다. 선인들의 지혜가 응축되어 있는 고사성어(故事成語)야말로 현대를 사는 우리들 에게 반성과 발전의 실마리를 제시해 주는 가장 적절한 溫故知新 의 도구이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우리말의 복습(復習) 을 온습(溫習) 이라 표현하고 있으니, 이는 배운 것을 익히고 또 익혀 늘 가슴 속에 간직한다는 의미이다. 새로이 고 사성어(故事成語) 란을 집필함에 있어, 짧지만 깊은 옛 사람들의 지혜를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마음 간절하다.

 

▶ 후안무치(厚顔無恥) 厚(투터울 후) 顔(얼굴 안) 無(없을 무) 恥(부끄러워할 치)

두꺼운 얼굴에 부끄럼은 없다

 

옛날 중국의 하나라 계(啓) 임금의 아들인 태강은 정치를 돌보지 않고 사냥만 하다가 끝내 나라를 빼앗기고 쫓겨 난다. 이에 그의 다섯 형제들은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며 번갈아가면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들의 노래는 모두 書經 의 <五子之歌>편에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막내가 불렀다고 하는 노래에는 이러한 대목이 보인다. 만백성들은 우리를 원수라 하니, 우린 장차 누굴 의지할꼬. 답답하고 섧도다, 이 마음, 낯이 뜨거워지고 부끄러워지누나.

 

 萬姓仇予, 予將疇依. 鬱陶乎予心, 顔厚有 . 厚顔 이란 두꺼운 낯가죽 을 뜻하는데, 여기에 무치(無恥) 를 더하여 후안 무치(厚顔無恥) 라는 말로 자주 쓰인다. 이는 낯가죽이 두꺼워서 부끄러운 줄을 모르는 사람 을 가리킨다. 지난 주 동안, 한보청문회에 모습을 드러낸 증인들 중 에는 후안(厚顔) 을 무기로 나온 이들이 많았다. 부끄럽게 생각합니다. 라고 말하면서도 그들의 얼굴에는 수치(羞恥)의 기색은 조금도 없었다. 만백성들은 지 금 그들이 태강의 동생들이 불렀다는 이 노래를 한번만이라도 읊조려 주기를 기 대하고 있다.

 

▶ 난신적자(亂臣賊子) 亂(어지럽힐 란) 臣(신하 신) 賊(해칠 적) 子(아들 자)

무자식이 상팔자

 

孟子 <등문공 文公>하편에는 맹자의 제자인 공도자가 제기한 논쟁에 관한 맹자의 답변이 실려 있다. 맹자는 자신이 논쟁을 피하지 않는 이유를 인의(仁義) 의 실천을 위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바로 이 대목에서 공자가 춘추를 완성하 자 나라를 어지럽히는 무리들은 두려워 하였다(孔子成春秋而亂臣賊子懼) 라는 구 절이 나온다.

 

후한서 <동탁전董卓傳>에도 너희들은 반역하여 천자를 핍박하 니, 역적들중에도 이제껏 너희같은 자들은 없었다(亂臣賊子未有如汝者) 이라는 구 절이 보인다. 亂臣賊子 란 임금을 죽이는 신하와 어버이를 죽이는 아들 또는 나라를 어 지럽히는 무리나 역적 등의 뜻이다. 옛날 영국에서는 국사범들을 런던탑(the Tower of Londen)에 감금하였는데, 이 탑의 Thames강 쪽의 문을 the Traitor's Gate 라 하였다. 이는 곧 亂臣賊子之門 이다.

 

우리 역사에서도 많은 亂臣賊子 들이 탄생과 함께 이슬로 사라져 갔지만, 여전 히 기억속에 살아있는 난신(亂臣) 의 탄생은 불과 18년전인 1979년 10월 26월 에 있었다. 하지만 한 시기에 亂臣 과 賊子 의 출현을 모두 보게 될지도 모른 다는 예감에 마음이 더욱 무거워진다.

■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

 

개인마다 생각하는 뜻이 좋은 고사성어가 존재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 중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을 적고자 한다. 사실 고사성어는 감동뿐만 아니라 삶의 지혜와 철학이 묻어 있다. 이 중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 몇 가지를 소개한다.

 

▶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

 

敎學相長(교학상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한다. 스승은 학생에게 가르침으로써, 그리고 제자는 배움으로써 진보한다는 말이다. 「좋은 요리가 있다고 하더라도 먹어 보지 않으면 그 맛을 알 수 없다. 지극히 심오한 진리가 있다고 해도 배우지 않으면 그것이 왜 좋은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배워 본 후에야 자기의 부족함을 알 수 있으며, 가르쳐 본 후에야 비로소 어려움을 알게 된다. 부족함을 안 후에야 스스로 반성하게 되고, 어려움을 안 후에야 스스로 강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

 

 

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

 

나무는 조용하고 싶지만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효도를 다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을 비유하는 말이다.

 

「공자(孔子)가 길을 가고 있는데 어디선가 몹시 슬피 우는 소리가 들렸다. 공자가 말했다. “말을 달려 가 보자. 앞에 현자가 있구나.” 울음소리를 따라가 보니, 고어(皐魚)가 베옷을 입고 낫을 껴안고 길가에서 울고 있었다. 공자가 수레에서 내려와 그 까닭을 물었다.

 

“상을 당한 것도 아닌데 어찌 그리 슬피 우는가?” 고어가 대답했다. “저에게는 세 가지 잃은 것이 있습니다. 어려서 공부를 하여 제후에게 유세하느라고 부모를 뒤로 했습니다. 이것이 잃은 첫 번째 것입니다. 내 뜻을 고상하게 하느라 임금을 섬기는 일을 등한히 했습니다.

 

이것이 잃은 두 번째 것입니다. 친구와 사이가 두터웠으나 젊어서 멀어졌습니다. 이것이 잃은 것의 세 번째입니다. 나무가 조용히 있고 싶어도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을 하려 하지만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한번 가면 쫓아갈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떠나가면 다시는 볼 수 없는 것이 부모님입니다. 이제 여기서 작별을 할까 합니다.”

 

그러고는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다. 공자가 말했다. “제자들이여, 이 말을 훈계로 삼아라. 명심할 만하지 않은가.” 제자 중에 고향으로 돌아가 부모를 봉양한 자가 열에 세 명이나 되었다.

 

曲學阿世(곡학아세)

 

배운 것을 구부려 세상에 아부하다. 학문을 올바르게 펴지 못하고 그것을 왜곡해 가며 세상에 아부하여 출세하려는 태도나 행동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 〈유림열전(儒林列傳)〉》에 나오는데, 원고생이 공손홍에게 충고한 말에서 학문을 굽혀 세상에 아첨한다는 뜻의 ‘곡학아세’가 유래했다.

 

狗猛酒酸(구맹주산)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질고 선량한 선비가 이르지 않거나 떠나 버려 결국 나라가 쇠약해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간신배들의 농간에 현명한 선비가 등용되지 못하는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든 비유이다. 한비는 이 이야기 후에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라에도 개가 있어, 도를 갖춘 선비가 법술을 품고 만승의 군주에게 밝히고자 해도 대신이 사나운 개가 되어 물어뜯는다면 이는 군주의 가림막이 되어 도를 갖춘 선비가 쓰임을 받지 못하는 까닭이 되는 것이다.

 

한비자의 이 이야기에서 ‘구맹주산’이 유래하여 간신배가 있으면 선량한 선비들이 떠나게 되어 나라가 위태로워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 뜻이 좋은 사자성어

 

뜻이 좋은 사자성어 중 자주 사용하지만 정확한 뜻을 몰라 가끔씩 난처한 경우가 생기죠. 자주 쓰는 사자성어를 몇 개 정리해보았습니다. 뜻이 좋은 사자성어이면서 자주 쓰는 사자성어입니다.

 

▶자주 쓰는 사자성어

 

화이부동(和而不同)과 부화뇌동(附和雷同)

 

화이부동은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는 않는다'라는 뜻이고 부화뇌동은 '우레 소리에 맞춰 함께하다.'라는 뜻이다. 즉 자신의 뚜렷한 소신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공자(孔子)가 말했다. “군자는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부화뇌동하지만 화합하지 않는다.(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논어(論語) 〈자로(子路)〉》)

 

군자는 의를 숭상하고 남을 자기 자신처럼 생각하여 화합하지만, 소인은 이익을 따져 이해관계가 맞는 사람끼리 행동하므로 사람들과 화합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뇌동부화(雷同附和)’, ‘부부뇌동(附付雷同)’이라고도 한다.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다.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논어(論語) 〈위정(爲政)〉》)

‘온고(溫故)’는 옛것을 익힌다는 뜻이고, ‘지신(知新)’은 새것을 안다는 뜻이다.

 

 

 出必告反必面(출필고반필면)

 

나갈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뵌다. 외출할 때와 귀가했을 때 자식이 부모에게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口蜜腹劍(구밀복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 겉으로는 꿀맛같이 절친한 척하지만 내심으로는 음해할 생각을 하거나, 돌아서서 헐뜯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구밀복검’은 솜 속에 바늘을 숨기고 있다는 뜻의 ‘면리장침(綿裏藏針)’, 그리고 이의부(李義府)의 고사인 웃음 속에 칼을 숨기고 있다는 뜻의 ‘소리장도(笑裏藏刀)’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큰 인물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 말은 《노자(老子)》 41장에 나온다. 여기에서 ‘만성(晩成)’이란 더디게 만들어져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로, 거의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후대에 와서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후한서(後漢書) 〈마원전(馬援傳)〉》에도 ‘대기만성’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후한의 창업자 광무제(光武帝) 때의 명장 마원(馬援)은 변방의 관리로 출발하여 복파장군(伏波將軍, 한무제 이래 큰 공을 세운 장군에게 준 칭호)까지 된 인물이다.

 

마원이 처음 지방의 관리가 되어 부임을 앞두고 형 마황(馬況)을 찾아가자 형이 마원을 격려했다. “너는 큰 재목이라 더디게 이루어질 것이다. 솜씨 좋은 목수가(산에서 막 베어 낸 원목을) 남에게 보여 주지 않고 잘 다듬듯이, 너도 재능을 살려 노력해야 한다(汝大才, 當晩成. 良工不示人以朴, 且從所好).”

 

■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

 

오늘의 한자성어는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의미있고 뜻 있는 사자성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

 

啐啄同時(줄탁동시)

 

줄(啐)과 탁(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 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으로, 가장 이상적인 사제지간을 비유하거나, 서로 합심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알 속에서 자란 병아리가 때가 되면 알 밖으로 나오기 위해 부리로 껍데기 안쪽을 쪼는데 이를 ‘줄’이라 하며, 어미 닭이 병아리 소리를 듣고 알을 쪼아 새끼가 알을 깨는 행위를 도와주는 것을 ‘탁’이라고 한다. 병아리는 깨달음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수행자요, 어미 닭은 수행자에게 깨우침의 방법을 일러 주는 스승으로 비유할 수 있다.

 

안과 밖에서 쪼는 행위는 동시에 일어나야 하는데, 스승이 제자를 깨우쳐 주는 것도 이와 같아, 제자는 안에서 수양을 통해 쪼아 나오고 스승은 제자를 잘 보살피고 관찰하다가 시기가 무르익었을 때 깨우침의 길을 열어 주어야 하는데, 이 시점이 일치해야 비로소 진정한 깨달음이 일어난다.

 

원래 민간에서 쓰던 말인데 송(宋)나라 때 《벽암록(碧巖錄)》에 공안(公案, 화두(話頭))으로 등장하면서 불가(佛家)의 중요한 공안이 되었다.

 

 

他山之石(타산지석)

 

사자성어 뜻 그대로를 풀이하면 남의 산의 돌이란 뜻이다. 다른 산의 돌을 자기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남의 말이나 행동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타산지석 가이위착(他山之石可以爲錯)’과 ‘타산지석 가이공옥(他山之石可以攻玉)’에서 ‘타산지석’이 유래했는데, ‘돌’을 소인에 비유하고 ‘옥’을 군자에 비유하여 군자도 소인에 의해 수양과 학덕을 쌓아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破釜沈舟(파부침주)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 살아 돌아갈 기약을 하지 않고 죽을 각오로 싸우겠다는 굳은 결의를 비유하는 말이다. 즉 배수의 진을 치는 것을 말한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데, 항우가 군사를 이끌고 황하를 건너 배를 모두 가라앉히고 솥과 시루를 깨뜨린 데서 유래하여 ‘파부침주’는 죽을 각오를 하고 싸우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파부침선(破釜沉船)’, 혹은 식량을 버리고 배를 가라앉혔다는 뜻의 ‘기량침선(棄糧沉船)’이라고도 한다.

명심보감 [明心寶鑑]결초보은(結草報恩)

 

명심보감 [明心寶鑑]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 추적(秋適)이 중국의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으로 상, 하권에 모두 20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명심보감 [明心寶鑑]은 한자어 뜻 그대로 '마음을 밝히는 보배로운 거울'이란 뜻이 인생의 지침서라 할 수 있다. 쉽게 생각하면 동양의 '탈무드'라 할 수 있다. 

 

결초보은(結草報恩) 뜻

 

결초보은(結草報恩)

結 맺을 결, 草 풀 초, 報 갚을 보, 恩 은혜 은

 

'풀을 묶어 은혜를 갚는다'는 뜻으로 죽어서도 잊지 않고 은혜를 갚는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유래에 대해서는 명심보감 계선편에 이어 서술한다.

 

① 죽어 혼이 되더라도 입은 은혜(恩惠)를 잊지 않고 갚음

② 무슨 짓을 하여서든지 잊지 않고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함

③ 남의 은혜(恩惠)를 받고도 배은망덕(背恩忘德)한 사람에게 개만도 못하다고 하는 말

 

 

명심보감 [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명심보감 [明心寶鑑]의 첫번째 편으로 끊임없이 작한 일을 하자라는 금언과 격언이 있다. 계선편[繼善篇]의 '계[繼]'는 '이어간다, 계속하라', '선[善]'은 '착하다, 선행' 등을 뜻한다. 즉 계선[繼善]은 '선행을 이어가라, 선행을 계속하라'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간 사회에서 선을 권하고 악을 금하는 '권선징악'은 예로부터 지금까지 변할 수 없는 가르침이자 진리이다. '착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 복이 오고 악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화가 미친다.'는 너무나 인간적인 신념을 바탕으로 선행을 권하는 글귀가 수록되어 있다.

 

子曰 爲善者 天報之以福 爲不善者 天報之以禍

자왈 위선자 천보지이복 위부선자 천보지이화

“선한 일을 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복을 주고, 선하지 못한 일을 하는 자에게는 하늘이 재앙을 내린다.이를 화로써 갚느니라.”  - 공자 [孔子, Confucius, BC 551년 ~ BC 479년]

 

결초보은(結草報恩) 유래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진나라의 위무자에게 젊은 첩이 있었는데 위무자가 병이 들자 본처의 아들 위과를 불러 '내가 죽거들랑 네 서모를 개가시키도록 하여라.' 했다. 그러자 위무자의 병세가 점점 악화되어 위독한 지경에 이르게 되자 다시 아들에게 분부하기를 '내가 죽거들랑 네 서모는 반드시 순사토록 해라.'라고 명했다.

 

그리고 위무자가 죽자 아들은 '사람의 병이 위중하면 정신이 혼란해지기 마련이니, 아버지께서 맑은 정신일 때 하신 말씀대로 따르리라.'하고는 아버지의 처음 유언을 따라 서모를 개가시켜 드렸다.

 

그 후 위과는 진나라와 전쟁에서 장수로 참여했는데, 전투 중에 적군 장수인 두화에게 사로잡힐 위기에 처했다. 그때 한 노인이 두회의 발 앞의 풀을 엮어(결초[結草]) 그가 넘어지게 하여 오히려 위과가 두회를 사로잡을 수 있게 했다.

 

그날 밤 위과의 꿈에 그 노인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나는 당신 서모의 애비되는 사람으로서 그대가 아버지의 유언을 옳은 방향으로 따라 주었기 때문에 내 딸이 목숨을 유지하고 개가하여 잘 살고 있소. 나는 당신의 그 은혜에 보답(報恩)하고자 한 것이오."라고 했다.

 

이 고사에서 바로 '결초보은(結草報恩)'이란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 명심보감 계선편과 결초보은 결론

 

우리 속담에 '콩을 심으면 콩이 나고, 팥을 심으면 팥이 난다.'는 말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선은 선을 낳고, 악은 악을 낳는다.'는 점을 명심보감 계선편과 결초보은에서 알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