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강지처(糟糠之妻)

 

조강지처(糟糠之妻)는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에 노오는 이야기입니다. 가난하고 힘들 때 함께 고생한 본처를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불륜 드라마 소재로 자주 사용되는 조강지처(糟糠之妻)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강지처(糟糠之妻) 뜻

 

조강지처(糟糠之妻)
糟 : 지게미 조, 糠 : 겨 강, 之 : 갈 지, 妻 : 아내 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苦生)을 같이 해온 아내란 의미로 곤궁(困窮)할 때부터 간고(艱苦)를 함께 겪은 본처(本妻)를 흔히 일컬는다. 즉 가난한 살림을 함께 꾸려온 아내를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조(糟)는 지게미, 강(糠)은 쌀겨라는 뜻으로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한 본처(本妻)를 이르는 말이다. 처녀로 시집와서 여러 해를 같이 살아온 아내라면 모두 조강지처라 할 수 있다.

 

 

조강지처(糟糠之妻) 유래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에 보면, 후한의 창업자 광무제(光武帝)의 누님이 일찍이 과부가 되어 쓸쓸히 지내는 것을 보고 광무제는 마땅한 사람이 있으면 다시 시집을 보낼 생각으로 그녀의 의향을 떠보았다. 미망인이 된 광무제의 누이인 호양공주는 송홍 같은 사람이라면 시집을 가겠다고 하였다.

 

광무제는 누이의 마음을 알아채고 두 사람을 맺어주기 위해 송홍과 대화를 나누었다. 마침 송홍이 공무로 편전에 들어오자 광무제는 누님을 병풍 뒤에 숨기고 그에게 넌지시 물었다. "속담에 말하기를 지위가 높아지면 친구를 바꾸고 집이 부유해지면 아내를 바꾼다 하였는데, 이것이 인지사지가 아니겠소?" 하고 말하자 송홍은 서슴지 않고 대답하였다.

 

"신은 가난할 때 친하였던 친구는 잊어서는 안 되고, 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고생한 아내는 집에서 내보내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臣聞 貧賤之交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라고 하였다. 이 말을 들은 광무제는 누님이 있는 쪽을 돌아보며 조용한 말로 "일이 틀린 것 같습니다"라고 말하였다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