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재, 사십구재란?

 

사람이 죽은지 49일째에 치르는 불교식 제사의식을 49재(사십구재)라 한다. 간혹 가다 49제라고 잘못 표기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제(祭 : 제사제)와 재(齎 : 가져올 재)를 정확하게 구분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정확한 표기법은 49재 또는 사십구재입니다.

 

재(齋)의 의미는 제사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재공양의 의미를 담고 있는 불교용어입니다. 즉 49재(사십구재)의 의미는 고인이 되신 분을 위해 부처님에게 공양물을 받들어 올린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49재, 사십구재 유래와 의미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유교적인 조령숭배(祖靈崇拜) 사상과 불교의 윤회(輪廻) 사상이 절충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즉 현대의 49재는 불교 + 유교 의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불교의식에서는 사람이 죽은 다음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재(齋)를 올려 죽은 이가 그 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서 좋은 곳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를 비는 제례의식이다. 그래서 칠칠재(七七齋)라고도 부르며, 이 49일간을 '중유(中有)' 또는 '중음(中陰)'이라고 하는데, 이 기간에 죽은 이가 생전의 업(業)에 따라 다음 세상에서의 인연, 즉 생(生)이 결정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즉 사십구재(49재)는 고인인 되신 날로부터 7일째 되는 날 마다 7회에 걸쳐 49일재 되는 날 지내는 천도의식입니다.

 

 

* 천도의식 : 망자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는 의식. 유교와 불교에서 인간은 두 번 죽는 것으로 생각을 합니다. 한 번은 우리 모두가 아는 생물학적(의학적)인 죽음을 말합니다. 또 다른 하나는 생물학적 죽음 이후,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 49일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이 49일 동안의 죽음은 삶과 죽음의 중간 상태인 망자 상태를 말합니다. 이 49일 동안은 망자가 다음 생을 부여받는 '열'이 정해지는 시간입니다.

 

원래 불교의 '무아설(無我說)'에 따르면 개인의 생전의 행위 자체에 대한 업보(業報)는 그 사람 개인에 한정되며, 어떤 방법으로도 자녀 또는 그 후손 누구에게도 전가될 수가 없으며 전가시킬 수도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유교사상은 이 49일 동안에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하여 그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재를 올리면, 죽은 부모나 조상이 후예들의 공덕에 힘입어 보다 좋은 곳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또 그 조상의 혼령이 후손들에게 복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불교에서도 '무아설'과는 다른 육도(六道) 사상적 해석에 따르면, 모든 중생은 육도, 즉 천상(天上)·인간(人間)·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아귀(餓鬼)·지옥도(地獄道) 등 여섯 세계를 윤회하고 있으므로 죽은 가족이 이 중 이른바 삼악도(三惡道; 지옥도·아귀도·축생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는 기도 행위가 49재라는 것이다.

 

 

49재, 사십구재 결론

 

결론적으로 49재(사십구재)는 망자가 다음 생에서 좋은 생을 부여받기 바라는 후손의 마음이다. 고인의 후손이 정성을 들여 재를 올리면 그 공덕으로 다음 생에 좋은 곳에 인간으로 태어나고, 고인의 혼령이 후손들에게 복을 준다고 믿는 믿음을 가진 제례의식이다. 사십구재의 좋은 의미에도 불구하고 현대인의 바쁜 일상으로 인해 치르지 않는 집안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