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재와 오복

 

'올해는 삼재의 해이니 조심해야 한다'와 '이빨은 오복 중 하나이다"라는 말 들어보셨죠. 막연히 3재는 나쁜 것 이빨 외에 나머지는 뭐가 있지 궁금해보신 적 없나요? 사실 치아는 오복에 있지 않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삼재와 오복 뜻과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삼재(三災) 뜻과 의미

 

인간에게 9년 주기로 돌아온다는 3가지 재해를 말한다. 도병제·질역재·기근재, 또는 수재·화재·풍재가 있다. 사람이 사노라면 행운과 불행을 겪는데, 액운이 든 해를 액년 또는 3재년이라고 부른다. 3재의 해에 해당하는 사람은 액을 쫓고 3재를 면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불행이 닥쳐온다고 전한다. 3재란 누구나 맞게 되는 것이 아니라 같은 해라도 3재의 해에 해당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으며 12지로 따진다.

 

사(巳)·유(酉)·축생은 해(亥)·자(子)·축년에, 신(申)·자(子)·진생은 인(寅)·묘·진년에, 해(亥)·묘·미생은 사(巳)·오(午)·미년에, 인(寅)·오(午)·술생은 신(申)·유(酉)·술년에 각각 3재가 든다. 9년마다 3재가 들기 때문에 3재가 드는 3년간은 인간관계나 모든 일을 꺼리고 삼가야 할 일이 많다. 심지어 결혼이나 회갑잔치, 이사나 개축 같은 인간사의 중요한 일들도 3재가 든 해에는 피하는 경향이 있다.

 

세속에서는 이와 같은 복설을 믿고 3마리의 매를 그리거나 삼두일족응 부적을 문설주에 붙여 액을 막는다. 지역에 따라서는 정초에 홍수매기를 하여 가족 중에 3재가 든 사람의 액막이를 해준다. 절이나 무당집에 가서 부적을 해오기도 하고 제웅을 만들어 땅에 묻거나 들판에 버려 악귀를 쫓아내기도 한다. 2016년, 2017년, 2018년의의 삼제는 호랑이띠, 말띠, 개띠입니다.

 

삼재와 오복


오복(五福) 뜻과 의미


인생의 바람직한 조건인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의 다섯가지 복을 말한다. 오복이 문헌상에 나타난 것은 『서경』「홍범편」이다. 그 뒤 여러 경전에 인간 오복에 대한 말이 나오고 시인들의 작품에도 많이 나타난다. 인생에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5가지 복을 '오복(五福)'이라고 합니다.

 

오복이란 말은 한국 사람들도 옛부터 즐겨써온 말로 가장 행복한 삶을 말할 때 ‘오복을 갖추었다’고 말하였으며, 새로 집을 건축하고 상량(上梁)할 때 대들보에 연월일시(年月日時)를 쓰고 그 밑에 “하늘의 세 가지 빛에 응하여 인간 세계엔 오복을 갖춘다(應天上之三光 備人間之五福)”고 쓰는 것이 전통적인 관례가 되었다.

 

오복은 첫째가 수로, 인간의 소망이 무엇보다도 장수를 원하기 때문이다.

둘째가 부로, 부유하고 풍족하게 살기를 바라는 간절한 소망인 것이다.

셋째가 강녕으로, 일생 동안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욕망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넷째가 유호덕으로, 덕을 좋아한다는 뜻은 오래 살고 풍족하고 몸마저 건강하면 그 다음에는 이웃이나 다른 사람을 위하여 보람있는 봉사를 해보자는 것으로, 선을 권하고 악을 미워하는 선본사상의 발로라고 생각된다.

마지막 다섯째는 고종명은 죽음을 깨끗이 하자는 소망으로, 모든 사회적인 소망을 달성하고 남을 위하여 봉사한 뒤에는 객지가 아닌 자기집에서 편안히 일생을 마치기를 바라는 소망이 담겨 있다.

 

이와 같은 다섯가지 바람은 소망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정치가나 학자 또는 지도계층의 소망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민간에서 바라는 오복은 『통속편(通俗編)』에 나오는데 수·부·귀(貴)·강녕·자손중다(子孫衆多)로, 『서경』에 나오는 오복과 다소 차이가 있다.

 

『서경』 오복의 유호덕이 귀로, 고종명이 자손중다로 바뀐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 서민이나 천민은 귀하게 되는 것이 남을 위하여 봉사하는 것이라 생각하였고 자손이 많은 것이 고종명보다 낫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속담에 인간의 이[齒]가 오복에 든다고 하는 것은 사실과는 다르지만 이가 좋아야만 건강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나온 듯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