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반정과 이괄의 난

 

인조반정 1623(광해군 15)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집권당인 대북파를 몰아내고 능양군(인조)을 왕으로 세운 정변. 광해군은 임진왜란 후 대북파를 기용하여 개혁적인 정책을 펴 나갔다. 그러나, 적자가 아니었던 광해군은 형제들을 죽이고, 대비를 유폐하였고, 오랑캐라고 할 수 있는 후금과 명에 균형외교를 유지하여 중화사상에 물든 서인들의 불만이 컸다.

 

서인세력은 사림을 규합해 선조의 손자 능양군을 왕위에 올리기로 하고 반정을 일으켰다. 당시 훈련대장 이흥립이 성문을 열어 반군을 맞아들여 반정은 쉽게 성공했다. 반정세력은 인목대비를 복권하고, 광해군을 폐위하고 능양군을 왕위에 올렸다. 또한 집권했던 대북파들을 처형하고, 자신들은 정사공신이 되었다.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내정과 외교에서 비범한 정치적 역량을 발휘했다. 내정 면에서 왜란으로 인해 파괴된 사고(史庫) 정비, 서적 간행, 대동법 시행, 군적(軍籍) 정비를 위한 호패법의 실시 등 많은 치적(治績)을 남겼으며, 외교 면에서도 만주에서 크게 성장한 후금(後金)의 존재를 인정함으로써 국제적인 전쟁에 휘말리는 것을 피했다. 그러나 왕위를 위협할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동복형(同腹兄)인 임해군(臨海君)과 유일한 적통(嫡統)인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살해했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의 호를 삭탈하고 경운궁(慶運宮:西宮)에 유폐(幽閉)했다.

 

이러한 행위는 성리학적 윤리관에 비추어 패륜으로 여겨졌고, 명을 배반하고 후금과 평화관계를 유지한 것도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던 당시의 사림들에게는 큰 불만이었다. 그리하여 광해군이 즉위할 당시부터 정치권력을 잃었던 서인세력들이 그러한 사류(士類)들의 불만을 이용하여 정변을 계획했다.

 

1620년부터 이서·신경진(申景禛)이 먼저 반정의 계획을 수립한 후 구굉(具宏)·구인후(具仁垕) 등을 끌어들이고, 이어 김유·이귀·최명길(崔鳴吉) 등의 문신과 연계하여 능양군을 왕으로 추대하면서 1623년 3월 12일을 거사일로 정하고 모든 계획을 진행시켰다. 이 계획은 거사 직전에 이이반(李而攽)의 고변(告變)에 의해 누설되었지만 광해군이 후궁과 연회를 즐기느라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예정대로 추진되었다. 능양군은 직접 병사를 이끌고 나아가 이서가 장단으로부터 통솔해온 700여 명의 군사와 연서역(延曙驛)에서 합류한 후, 김유를 대장으로 삼아 홍제원(弘濟院)에 집결했던 이귀·최명길·심기원(沈器遠)·김자점(金自點) 등의 600~700여 명의 군사, 그리고 이천으로부터 온 이중로(李重老)의 군사 등과 함께 창의문으로 진군하여 성문을 격파했다.

 

이어 창덕궁에 이르자 반정군에 포섭되었던 훈련대장 이흥립(李興立)의 내응으로 훈련도감의 군사가 반정군을 체포하지 않고 오히려 성문을 열어줌으로써 대궐을 쉽게 점령했다. 반정세력은 서궁에 유폐되어 있던 인목대비의 호를 회복시켜준 후 그 권위를 빌려 광해군과 동궁을 폐출하고 선조의 손자인 능양군을 왕위에 추대했다. 한편 광해군은 반정군이 대궐에 침입한 뒤 비로소 대궐 뒷문으로 달아나 의관(醫官) 안국신(安國臣)의 집으로 숨었으나 곧 체포되어 서인으로 강등된 후 강화로 귀양보내졌다.

 

또한 폐모정청(廢母庭請) 등에 앞장섰던 대북파의 이이첨(李爾瞻)·정인홍(鄭仁弘) 등은 물론 북인으로서 광해군 말기까지 정치에 관여했던 수십 명이 처형을 당하고, 200여 명이 유배당했다. 반면 반정에 참여한 인물들은 1623년(인조 1) 윤 10월 53명이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책봉되었다.

 

인조반정 후 정권을 장악한 서인은, 광해조 대북정권 몰락의 원인을 정책의 패륜성에서도 찾았지만, 보다 주요한 원인은 당시 정치세력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던 서인·남인 등 다른 붕당의 존재와 반대의견을 무시함으로써 야기된 불만이라고 생각했다. 이에 서인정권은 북인을 도태시키면서도, 남인 이원익(李元翼)을 영의정으로 임명하는 등 명분상 하자가 없는 남인을 크게 등용함으로써 반대당의 존재와 비판을 인정하는 입장을 취했다.

 

 

 

이괄의 난

 

인조반정으로 인조가 즉위한 뒤 서인들은 반정공신인 공서파와 반정에 참여하지 않은 청서파로 갈라졌다. 공신들 간의 알력이 심해지면서 1624년 1월 문회·허통·이우 등이 이괄과 그의 아들 전·한명련·정충신·기자헌 등이 역모를 꾸몄다고 무고했다.

 

이괄은 아들 전이 모반의 사실여부를 가린다는 명목으로 서울로 붙잡혀 가게 되자, 전을 압송하러 온 이들을 죽인 후 1만 2,000여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반란을 일으켰다.

 

역시 모반혐의로 압송되고 있던 한명련을 구출한 뒤 서울로 진격, 황주·마탄·임진 등에서 관군을 잇달아 격파하고 서울을 점령했으며, 선조의 아들 흥안군 제를 왕으로 세웠다. 그러나 다음날 뒤쫓아온 관군에게 파주 길마재에서 크게 패하여 광주·이천으로 후퇴하던 중 죽음을 당함으로써 반란은 실패했다.

 

임진왜란 때 붕당간의 본격적인 쟁권(爭權)은 가장 주전론적 입장에 섰던 북인들의 승리로 귀결되었지만, 이들은 다시 왕위계승권을 둘러싸고 대북(大北)·소북(小北)으로 나뉘었다.

 

이후 광해군대에 정인홍(鄭仁弘)·이이첨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북정권은 왕권의 확립을 위해 서인·남인 등 다른 붕당의 의견을 무시하고, 소북계의 지지를 받은 영창대군을 살해하며,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하는 등 무리한 조치를 취했다. 이에 서인계열의 사림세력들은 패륜행위를 명분으로 대북정권을 타도하고 정권을 장악하고자 했다. 1623년(광해군 15) 서인계의 이귀(李貴)·최명길(崔鳴吉)·김자점(金自點) 등과 함경북도병마절도사 이괄 등은 반정을 위해 사모군(私募軍)을 이끌고 홍제원(弘濟院)에 모였다.

 

그런데 총지휘자로 추대되었던 김유(金瑬)가 사전 계획 누설을 이유로 소극적으로 행동하자, 이괄은 이를 비난했다. 따라서 반정에 성공한 후에도 김유와의 관계가 불편했다. 인조 즉위 후 서인들은 반정공신인 공서파(功西派)와 반정에 참여하지 않은 청서파(淸西派)로 갈려졌고, 공신들의 사적군사력이 그대로 유지되자 '훈신군관'에 대한 비난이 높아졌다.

 

공서파들은 정권 안정을 위해 대북·소북 인사의 처형과 반역음모 적발에 힘을 기울였고, 자기파 중심의 논공행상을 함에 따라 비서인이자 무관인 이괄은 한성부판윤에 머물게 되었다. 이어 후금(後金)의 성장으로 인해 북방문제가 심각해지자 이괄은 도원수(都元帥) 장만(張晩) 휘하의 평안북도병마절도사 겸 부원수에 임명되어 영변으로 출진했다.

 

그런데 1624년 1월에 문회(文晦)·허통(許通)·이우(李佑) 등이 이괄과 그의 아들 전(旃)·한명련(韓明璉)·정충신(鄭忠信)·기자헌(奇自獻)·현집(玄楫)·이시언(李時言) 등이 역모를 꾸몄다고 무고했다. 이에 기자헌·현집 등을 문초했으나, 역모에 대한 단서는 잡지 못했는데, 그럼에도 공서파들은 이괄이 막강한 군대를 거느리고 있어 두렵게 생각하고 일단 아들 전을 서울로 압송하여 문초하려 했다. 이에 이괄은 위기의식을 느끼고 전을 압송하러 온 이들을 죽이고 역시 서울로 잡혀가는 한명련을 구해내어 "군측(君側)의 악을 숙청한다"는 명분으로 난을 일으켰다.

 

그리하여 1월 22일 항왜병(降倭兵) 100여 명을 선봉으로 하여 1만 2,000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서울로 향했다. 이괄군은 도원수군과의 충돌을 피하여 영변-자산(慈山)-상원(祥原)-평산(平山)-개성의 진격로를 택했다. 이괄군은 황주신교(黃州薪橋)에서 정충신과 남이흥(南以興)의 군대와 싸워 크게 이긴 후, 평산(平山)이 경비가 엄함을 알고 봉산 고읍(古邑)에서 전탄(箭灘)을 건너 샛길로 진군하여 마탄(馬灘:예성강 상류)에서 또 관군을 대파했다. 이괄군이 개성으로 진격함에 따라 인조는 공주로 피난갔고, 2월 11일 반군은 서울에 입성하여 경복궁 옛터에 주둔하여 선조의 아들 흥안군(興安君) 제(瑅)를 왕으로 추대하고, 관원을 배치하여 새로운 행정체제를 세웠다.

 

한편 각처에 방을 붙여 도민(都民)의 마음을 안심시키며 생업에 충실할 것을 당부했다. 이때 도원수 장만의 군사와 각지 관군의 연합군은 길마재[鞍峴]에서 진을 치고 위에서 내려다보며 반란군의 공격에 응전했다. 2월 11일 이괄군은 군대를 둘로 나누어 길마재를 포위·공격했으나, 대패하고 밤에 수구문(水口門:지금의 광희문)을 나와 광주(廣州)로 향하다가 관군의 추격으로 완전히 흩어졌다.

 

이후 이괄·한명련이 2월 15일 이천(利川)에서 부하장수 기익헌과 이수백에게 죽음을 당함으로써 난은 실패했다. 이괄의 난은 대내적으로 수도의 함락, 국왕의 몽진(蒙塵) 등으로 인한 민심의 동요와 공신세력 내부의 갈등의 노골화, 어영청 등 군영재편을 초래했으며, 대외적으로는 한명련의 아들 한윤(韓潤)이 후금으로 도망가 남침(南侵)의 야욕을 자극하여 정묘호란(丁卯胡亂)의 명분을 제공하기도 했다.

 

 

광해군과 인조반정

 

광해군(光海君, 1575~1641)

 

본명은 이혼으로 조선의 15대왕으로 선조의 아들이다. 조선왕조를 통틀어 조와 종과 같은 왕의 칭호를 받지 못한 2명(연산군, 광해군) 중 1명이다. 연산군은 왕의 역할을 못해 페위되었다면 광해군은 촉발된 사건으로 인해 폐위가 되 군(君)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광해군은 누구인가?

 

1. 임진왜란 중 세자에 책봉되다.

 

광해군은 1575년(선조 8)에 선조와 후궁 공빈 김씨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름은 혼(琿)이다. 공빈 김씨는 임해군과 광해군 두 아들을 낳고 일찍 세상을 떠났다. 임해군과 광해군은 자식이 없던 의인왕후의 손에서 자랐다. 조정에서는 일찍부터 세자를 세우는 일이 논의되었다. 그러나 선조는 적자가 없는 상황에서 세자를 옹립하는 일 자체를 꺼려했다.

 

그러나 뜻밖의 상황이 광해군을 세자로 만들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왕이 도성을 버리고 피란을 가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분노로 들끓는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대신들도 더 이상 세자 책봉을 미룰 수 없다며 왕을 압박했다. 끝까지 망설이던 선조는 결국 광해군을 세자로 삼기로 했다. 큰아들인 임해군을 두고 광해군을 세자로 세운 것은 임해군의 성질이 포악해 세자가 될 자질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세자에 책봉된 광해군은 임진왜란 때 분조를 이끌며 종묘와 사직을 지켰다. 그리고 들끓는 민심을 수습하고, 군국기무를 맡아 민·관군과 의병의 활동도 독려했다. 왕이 해야 할 일을 대신한 것이다. 광해군은 1592년(선조 25) 6월부터 이듬해 10월까지 분조를 이끌었다. 최홍원(崔興源), 이덕형(李德馨), 이항복(李恒福) 등이 광해군의 분조에서 활약했다. 광해군은 분조가 해체된 후에도 군무사(軍務司)의 업무를 주관하며 국란 극복에 앞장섰다.

 

2. 정통성 논란과 왕위 계승

 

전쟁은 끝났다. 이제 모두가 합심해 전란으로 상처 입은 국토와 백성들의 마음을 어루만져야 할 때였다. 그러나 당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그 중심에는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있었다. 이미 광해군이 세자로 책봉되었고, 전란 중에는 왕을 대신해 분조까지 이끌었는데 새삼스럽게 왕위 계승 문제가 불거진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큰 원인은 명나라에서 광해군을 세자로 인정하지 않는 것이었다. 명나라에서 광해군이 적자도 아니고 장자도 아니라는 이유로 세자 책봉 재가를 미루고 있었다. 이는 당시 명나라의 정치적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이를 빌미로 조선을 조종하려던 것이었다. 그런 와중에 선조도 마음이 돌아섰다. 전쟁 중에 광해군을 세자로 삼아 나라의 근본을 세우겠다던 선조의 태도 변화에 광해군은 당황했다.

 

1606년(선조 39), 선조의 바람대로 첫 번째 적자인 영창대군이 태어났다. 이는 곧 광해군의 시련으로 이어졌다. 선조는 아예 노골적으로 "명나라의 책봉도 받지 못했으면서 세자 행세를 하느냐."라며 광해군의 문안조차 받지 않으려 했다. 조정에서는 영의정 유영경(柳永慶)을 중심으로 영창대군을 세자로 옹립하려는 움직임까지 있었다. 이것은 광해군에 대한 정치적 압박이었다. 광해군은 정통성 논란과 함께 서른 살이나 어린 동생과 왕권을 두고 경쟁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그러나 선조가 1608년(선조 41)에 갑자기 병이 깊어지면서 상황은 광해군에게 유리하게 급반전되었다. 죽음을 앞두고 선조가 광해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겠다고 한 것이다. 아무리 적자라도 겨우 두 살인 영창대군에게 보위를 물려줄 수는 없었던 것이다. 1608년(선조 41) 2월 1일 선조가 눈을 감자 광해군은 즉위식을 올리고 조선의 15대 왕으로 즉위했다.

 

3. 왕권과 패륜

 

 

광해군은 즉위하자마자 명나라에 선조의 죽음과 자신의 즉위 사실을 알렸다. 그러나 광해군의 세자 책봉을 차일피일 미루던 명나라는 광해군의 즉위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장자인 임해군이 있는데 어떻게 차자인 광해군이 왕위를 차지했냐는 것이었다. 이에 당황한 사신 이호민(李好閔)이 급히 변명했으나 먹혀들지 않았다.

 

세자 시절 내내 정통성 논란에 시달렸던 광해군에게는 슬픈 소식이었다. 게다가 명나라에서는 임해군을 직접 만나 내막을 알아보겠다며 조사단까지 파견했다. 임해군은 광해군의 동복형으로, 타고난 성품이 사납고 방자해 왕위 계승 경쟁에서 밀려난 인물이었다. 따라서 자신을 밀어내고 동생인 광해군이 왕이 된 데 불만이 많았다. 대북 일파는 임해군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광해군은 혈육을 죽일 수 없다며 거부했다. 그러나 대북은 기어이 모반죄를 씌워 임해군을 강화로 귀양 보내고, 그와 관계된 사람들을 모조리 잡아다 죽였다. 그런 임해군을 명나라 조사단이 직접 만나겠다고 하니 광해군과 대북은 불안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임해군을 협박해 입단속을 하고 조사단에게 뇌물을 주는 것으로 사태를 무마했다.

 

광해군은 1609년(광해군 1) 3월에야 겨우 명나라로부터 책봉 조서를 받았다. 그리고 그해 5월 임해군은 유배지에서 의문의 죽음을 당했다. 정확한 사인에 대해서는 전해지지 않으나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강화현감이 그를 살해했다고 알려져 있다. 임해군을 직접 죽인 것은 아니지만 이 일로 광해군은 왕권을 지키기 위해 혈육의 죽음을 방조한 패륜 군주로 낙인찍히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임해군의 죽음 이후로도 진릉군, 능창군 등의 왕족이 연루된 대규모 옥사가 발생했다. 광해군과 대북은 이런 식으로 정적을 제거해 나갔다. 그러나 그들에게 가장 위협적인 인물은 어린 이복동생 영창대군이었다. 광해군이 어렵게 명나라의 승인을 받았다고는 하나 선조의 적자인 영창대군이 살아 있는 한 정통성 논란은 언제고 다시 재현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곧바로 영창대군을 처단하라는 삼사와 유생들의 상소가 빗발쳤다. 이어서 폐모론까지 등장했다. 그 뒤에는 이이첨 등이 있었다. 이이첨의 무리는 이 일에 동조하지 않는 서인들에게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항복, 이덕형 등은 끝내 대북의 폐모론에 동조하지 않다가 죽었다. 결국 이것은 훗날 서인들이 반정을 일으키는 명분이 되었다.

 

영창대군은 서인으로 강등된 데 이어 강화로 유배되었다. 당시 영창대군의 나이는 겨우 여덟 살이었다. 1614년(광해군 6) 영창대군은 아궁이에 불을 지펴 펄펄 끓는 밀실에 갇혀 질식해 죽고 말았다.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강화부사가 저지른 일이었다. 임해군에 이어 영창대군까지 살해되면서 광해군은 패륜의 멍에를 쓰게 되었다.

 

한편 어린 자식을 잃고 슬픔에 빠진 인목대비는 경운궁에 홀로 남겨진 채 사실상 연금 상태로 지냈다. 그런 와중에 경운궁(慶運宮)에서 임금을 비방하는 내용의 익명서가 발견됨으로써 인목대비 폐비에 관한 논의가 급물살을 타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1618년(광해군 10) 1월, 인목대비는 폐비되어 서궁(西宮)에 유폐되었다. 대북은 폐비에 반대한 인사들을 모두 조정에서 쫓아내는 등 계속해서 전횡을 저질렀다. 광해군은 왕권에 대한 집착으로 이들의 전횡을 묵과했다. 스스로 반정의 불씨를 키운 것이다.

 

4. 광해군의 업적

 

왕권을 지키기 위해 패륜을 저지른 군주라는 것이 광해군의 본질은 아니다. 그는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조선을 다시 재건하고 평화를 지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가시적인 성과도 이룩했다. 광해군의 재위 기간 중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외교 정책이다.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실리주의적 등거리 외교를 펼쳤다. 사대교린의 외교 정책을 고수했던 이전까지의 왕들과는 확실히 차별화되는 일면이었다.

 

광해군이 왕위에 있던 17세기 초는 중국 대륙에서 명조와 청조가 교체되던 시기였다. 명나라는 임진왜란 이후 국력이 더욱 쇠퇴해 멸망의 길로 가고 있었다. 반면 후금은 여진족을 통일한 누르하치가 청나라를 세우고 점점 세력을 넓혀 갔다. 그리고 마침내 1618년(광해군 10) 청은 명에 선전포고를 하고 전쟁을 시작했다. 명나라는 임진왜란 때 원군을 보낸 것에 대한 보은으로 조선에 파병을 요구했다. 그러나 광해군은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출병을 차일피일 미루었다. 조선에 중립을 요구하는 후금과의 관계를 고려한 것이었다. 광해군은 섣불리 명의 요구를 들어주었다가 후금이 조선을 침범할 것을 우려했다. 물론 이것은 명에 대한 의리를 중시하던 대부분 대신들의 생각과는 달랐다. 광해군은 명분보다는 실리를 선택했다.

 

광해군이 이룩한 업적 중 또 하나는 바로 대동법(大同法)의 시행이다. 대동법은 백성들이 부담하는 공물을 실물 대신 미곡으로 통일해 납부하도록 한 근대적 개념의 세제이다. 이전까지의 공납은 지역별로 배정된 품목을 직접 바치는 것으로 백성들의 부담이 컸다. 또한 그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은 특산품이 공물로 배정되는 경우도 있어서 방납(防納)의 폐단이 있었다. 이러한 방납의 폐단을 줄이고자 임진왜란 때는 대공수미법(代貢收米法)이 시행되었다. 이 대공수미법을 보완하고 확대한 것이 대동법이었다.

 

5. 광해군 반정으로 무너지다.

 

1623년(광해군 15) 3월, 이서(李曙), 이귀(李貴), 김류(金瑬) 등을 주축으로 한 서인 반정군이 창덕궁에 들이닥쳤다. 반정의 낌새를 전혀 눈치 채지 못하고 있던 광해군은 그제야 궁성을 넘어 도망쳤지만 곧 잡히고 말았다. 이렇게 광해군과 대북 정권은 끝이 났다. 반정으로 정권을 잡은 서인들이 능양군(綾陽君)을 왕으로 세우니, 그가 바로 16대 왕 인조다.

 

광해군은 문성군부인 유씨 그리고 폐세자 부부와 함께 강화도에 유배되었다. 그해 7월, 폐세자 질은 땅굴을 파서 위리안치된 집에서 도망치려다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이어 세자빈 박씨는 스스로 목을 매어 죽었다. 문성군부인 유씨는 1624년(인조 2)에 병으로 죽었으며, 광해군은 19년의 유배 생활 끝에 1641년(인조 19) 67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면 사능리에 있다.

 

광해군이 폐출된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반정 세력은 살제폐모(殺弟廢母)의 패륜과 명나라에 대한 불충을 반정의 이유로 내세웠다. 하지만 이것은 겉으로 내세운 명분일 뿐, 좀 더 본질적인 원인은 대북 정권의 독주로 인한 서인 세력의 반발이었다. 왕권을 지키려는 욕심에 대북의 전횡을 묵과한 것이 광해군의 패착이었다.

 

그러나 광해군은 어떤 면에서 시대를 앞서간 왕이었다. 반정으로 그 의미가 퇴색되긴 했지만 국란을 극복하고 국가의 안정을 유지하려고 했던 광해군의 노력은 그 자체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