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입가경(漸入佳境) 뜻과 유래

 

오늘 알아볼 고사성어는 점입가경(漸入佳境)입니다. 원래의 의미는 시간 또는 공간적으로 더욱 아름다워지고 좋아질 때 사용하는 표현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산속으로 들어갈수록 경치가 좋아질 때 점입가경(漸入佳境)이란 표현을 하였지만, 현대에 이르러 어떤 상황이나 모습을 비꼬거나 부정적인 의미로 더 자주 사용되곤 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점입가경(漸入佳境) 뜻

 

점입가경(漸入佳境)
漸 : 점점 점, 入 : 들 입, 佳 : 아름다울 가, 境 : 지경 경


'가면 갈수록 경치(景致)가 더해진다'는 뜻으로 일이 점점 더 재미있는 지경(地境)으로 돌아가는 것을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로 쓰인다.

 

점입가경(漸入佳境)은 경치나 문장 또는 어떤 일의 상황이 점점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점입가경(漸入佳境) 유래

 

《진서(晉書)》 〈고개지전(顧愷之傳)〉에 전한다. 고개지는 동진 시대의 화가로 서예의 왕희지와 더불어 당시 예림의 쌍벽을 이루었을 정도로 그림에 능했다. 고개지는 감자(甘蔗: 사탕수수)를 즐겨 먹었다. 그런데 늘 가느다란 줄기 부분부터 먼저 씹어 먹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사람들이, "사탕수수를 먹을 때 왜 거꾸로 먹나?" 하였다. 고개지는, "갈수록 점점 단맛이 나기 때문[漸入佳境]이다" 하고는 태연하였다. 이때부터 '점입가경'이 경치나 문장 또는 어떤 일의 상황이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되는 것을 뜻하게 되었다고 한다. 줄여서 자경(蔗境) 또는 가경(佳境)이라고도 한다.

 

고개지는 그림뿐만 아니라 문학과 서예에도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다. 사람들은 그를 삼절(三絶 : 畵絶(화절), 才絶(재절), 痴絶(치절))이라 하였는데, 이는 그의 뛰어난 재능과 그림 솜씨, 그리고 당시 풍속과 맞지 않는 특이한 말과 행동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난징[南京] 와관사(瓦棺寺) 창건 때의 일이다. 난징에 있던 일단의 승려들이 와관사를 짓기 위해 헌금을 걷었다. 그러나 사람들이 궁핍하여 뜻대로 모이지 않았다. 어느 날, 한 젊은이가 와서, "백만 전을 내겠소. 절이 완공되거든 알려 주시오"라고 하였다.

 

절이 완공되자 그 젊은이는 불당(佛堂) 벽에 유마힐(維摩詰)을 그렸다. 얼마나 정교한지 마치 살아 있는 것 같았다. 소문이 삽시간에 번져, 이를 구경하러 온 사람들의 보시가 백만 전을 넘었다고 한다. 이 젊은이가 바로 고개지였다. 

조강지처(糟糠之妻)

 

조강지처(糟糠之妻)는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에 노오는 이야기입니다. 가난하고 힘들 때 함께 고생한 본처를 말할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주로 불륜 드라마 소재로 자주 사용되는 조강지처(糟糠之妻)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강지처(糟糠之妻) 뜻

 

조강지처(糟糠之妻)
糟 : 지게미 조, 糠 : 겨 강, 之 : 갈 지, 妻 : 아내 처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苦生)을 같이 해온 아내란 의미로 곤궁(困窮)할 때부터 간고(艱苦)를 함께 겪은 본처(本妻)를 흔히 일컬는다. 즉 가난한 살림을 함께 꾸려온 아내를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조(糟)는 지게미, 강(糠)은 쌀겨라는 뜻으로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어가며 고생한 본처(本妻)를 이르는 말이다. 처녀로 시집와서 여러 해를 같이 살아온 아내라면 모두 조강지처라 할 수 있다.

 

 

조강지처(糟糠之妻) 유래

 

《후한서(後漢書)》 〈송홍전(宋弘傳)〉에 보면, 후한의 창업자 광무제(光武帝)의 누님이 일찍이 과부가 되어 쓸쓸히 지내는 것을 보고 광무제는 마땅한 사람이 있으면 다시 시집을 보낼 생각으로 그녀의 의향을 떠보았다. 미망인이 된 광무제의 누이인 호양공주는 송홍 같은 사람이라면 시집을 가겠다고 하였다.

 

광무제는 누이의 마음을 알아채고 두 사람을 맺어주기 위해 송홍과 대화를 나누었다. 마침 송홍이 공무로 편전에 들어오자 광무제는 누님을 병풍 뒤에 숨기고 그에게 넌지시 물었다. "속담에 말하기를 지위가 높아지면 친구를 바꾸고 집이 부유해지면 아내를 바꾼다 하였는데, 이것이 인지사지가 아니겠소?" 하고 말하자 송홍은 서슴지 않고 대답하였다.

 

"신은 가난할 때 친하였던 친구는 잊어서는 안 되고, 지게미와 쌀겨를 먹으며 고생한 아내는 집에서 내보내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臣聞 貧賤之交不可忘 糟糠之妻不下堂)"라고 하였다. 이 말을 들은 광무제는 누님이 있는 쪽을 돌아보며 조용한 말로 "일이 틀린 것 같습니다"라고 말하였다 한다.

■ 우정 사자성어 관포지교(管鮑之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정 사자성어 중 하나인 '관포지교'다. 춘추 전국 시대 제 나라의 재상 관중이 소년 시절부터 평생토록 변함이 없었던 포숙아와의 깊은 우정을 관포지교(管鮑之交)라 한다. 친구간의 깊은 우정을 나타내는 고사성어는 '백아절현, 문경지교, 죽마고우, 지란지교, 수어지교' 등이 있다. 이들의 우정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말이 있다. 나를 낳은 이는 부모님이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아다.


관포지교(管鮑之交) 뜻

 

관포지교(管鮑之交)
管 대롱 관/주관할 관, 鮑 절인 물고기 포, 之 갈 지, 交 사귈 교

 

옛날 중국(中國)의 관중(管仲)과 포숙(鮑叔)처럼 친구(親舊) 사이가 다정(多情)함을 이르는 말로 아래와 같은 뜻을 가진다.

 

①친구(親舊) 사이의 매우 다정하고 허물없는 교제
②우정(友情)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 허물없는 친구(親舊) 사이를 이르는 말

 

관중과 포숙의 사귐. 즉 영원히 변치 않는 친구 사이의 두터운 참된 우정을 비유하는 말이다.

 


관포지교(管鮑之交) 유래

 

<사기> <관안열전>에서 유래하였다. 관중은 포숙을 회고하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내가 일찍이 곤궁할 적에 포숙과 함께 장사를 하였는데, 이익을 나눌 때마다 내가 몫을 더 많이 가지곤 하였으나 포숙은 나를 욕심 많은 사람이라고 말하지 않았다. 내가 가난한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일찍이 나는 포숙을 위해 일을 꾀하다가 실패하여 더 곤궁한 지경에 이르렀는데 포숙은 나를 우매하다고 하지 않았다.

 

시운에 따라 이롭고 이롭지 않은 것이 있는 줄을 알았기 때문이다. 일찍이 나는 여러 차례 벼슬길에 나갔다가 매번 임금에게 쫓겨났지만 포숙은 나를 무능하다고 하지 않았다. 내가 시운을 만나지 못한 줄을 알았기 때문이다. 일찍이 나는 여러 차례 싸웠다가 모두 패해서 달아났지만 포숙은 나를 겁쟁이라고 하지 않았다.

 

나에게 늙은 어머니가 있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공자 규가 패하였을 때 동료이던 소홀은 죽고 나는 잡히어 욕된 몸이 되었지만 포숙은 나를 부끄러움을 모르는 자라고 하지 않았다. 내가 작은 일에 부끄러워하지 않고 공명을 천하에 드러내지 못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줄을 알았기 때문이다.

 

나를 낳은 이는 부모지만 나를 알아준 이는 포숙이다.” 포숙은 관중을 천거한 후 자신은 늘 관중의 아랫자리에 들어가서 일을 하였다. 포숙의 자손은 대대로 제나라의 녹을 받고 봉읍을 가지기를 십여 대나 하였는데, 항상 이름 있는 대부로 세상에 알려졌다. 세상 사람들은 관중의 현명함을 칭찬하기보다 오히려 포숙의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을 더 칭찬하였다.

호접지몽(胡蝶之夢)에 앞서

 

인생의 덧없음을 나타내는 호접지몽(胡蝶之夢)이 오늘의 고사성어입니다. 장자가 꿈에서 나비가 되어 날아 다녔다는 이야기로 장자의 나비 꿈입니다.

 

* 장자(莊子) : 중국 고대 도가의 사상가이다. 이름은 주(周)이다. 송에서 태어나 맹자와 동시대에 노자를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실재성은 의심스럽다. 도가 사상가들이 원본 '장자'를 편찬할 때, 이것을 장주(莊周)에게 기탁하여 '장자'라 명명한 듯 하다. 장자는 통일된 체계는 없지만 도가 사상의 역사적 전개를 볼 수 있다.


호접지몽(胡蝶之夢) 뜻

 

호접지몽(胡蝶之夢)
胡 : 오랑캐 호, 蝶 : 나비 접, 之 : 의 지, 夢 : 꿈 몽

 

장자(莊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①현실(現實)과 꿈의 구별(區別)이 안 되는 것
②인생(人生)의 덧없음의 비유(比喩ㆍ譬喩)

 

나비가 된 꿈이라는 뜻으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또는 인생의 무상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호접지몽(胡蝶之夢) 유래

 

이 이야기는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나온다. 호접지몽(胡蝶之夢)’은 ‘물아(物我)의 구별을 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장자(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어 즐기는데, 나비가 장자인지 장자가 나비인지 분간하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약해서 ‘호접몽(胡蝶夢)’이라고도 한다.

 

장주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어 꽃들 사이를 유유히 날아다니다 문득 깨어보니 나비가 아니라 분명 장주 자신이 아닌가? 장주가 꿈에서 나비가 된 건지 원래 나비인데 꿈속에서 장주가 된 건지 알 수 없었다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장자는 여기에서 장주와 나비는 분명 별개의 사물이지만, 물아의 구별이 없는 만물일체의 절대 경지에서 보면 장주도 나비도 꿈도 현실도 구분이 없으며, 다만 있는 것은 만물의 변화일 뿐이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호접지몽’은 피아(彼我)의 구별을 잊는 것, 또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 함흥차사(咸興差使)에 앞서

 

지금까지 알아본 대부분의 고사성어는 중국의 이야기였지만 함흥차사(咸興差使)는 조선의 이야기입니다. 어떤 일을 시키거나 소식이 전해 졌음에도 응답이 없을 때 사용하는 함흥차사(咸興差使)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함흥차사(咸興差使) 뜻

 

함흥차사(咸興差使)
咸 : 다 함, 興 : 일어날 흥, 差 : 어긋날 차, 使 : 부릴 사

 

① 심부름꾼이 가서 소식(消息)이 없거나, 또는 회답(回答)이 더딜 때의 비유(比喩ㆍ譬喩)
② 한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消息)이 없음

 

함흥차사(咸興差使)는심부름을 간 사람이 소식이 아주 없거나 또는 회답이 좀처럼 오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 함흥차사(咸興差使) 유래

 

조선 초 왕위를 둘러싼 형제간의 목숨을 건 권력 다툼은 두 차례에 걸친 왕자의 난을 야기했다. 이성계는 이에 울분하여 왕위를 정종에게 물려주고 고향인 함경도 함흥으로 돌아가 돌아오지 않았다. 태종(이성계)이 아버지의 노여움을 풀고자 함흥으로 여러 번 차사를 보냈으나 이성계는 아들이 보낸 그 사신들을 죽이거나 잡아 가두고 보내지 않았으므로, 한번 가면 깜깜소식이라는 고사에서 비롯되 심부름을 간 사람이 소식이 없거나 또는 회답이 없을 때 쓰는 함흥차사(咸興差使)가 되었다.

 

함흥차사(咸興差使)는 우리나라에서만 쓰이는 고사성어로 이와 유사한 말로는 '끝내 소식이 없다'는 뜻의 ‘종무소식(終無消息)’과, 강원도는 산이 많고 험해 포수가 한번 들어가면 좀처럼 나오기 어렵다는 뜻의 ‘강원도포수(江原道砲手)’가 있다.

환골탈태(換骨奪胎)에 앞서

 

환골탈태(換骨奪胎)는 얼굴이나 모습이 몰라볼 정도로 아름다워지거나, 시나 문장이 남의 손을 거쳐 완전히 새롭게 거듭남을 뜻하는 고사성어입니다.

 

문단 또는 음아계에서 가끔 표절로 문제가 되곤 합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시는 율어에 의한 모방이다'고 말했다. 모든 예술은 모방에 의해 창조된다는 말도 있다. 다만 분명히 할 것은 모방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것은 곧 표절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시나 소설에서 일부 표현이나 문장을 토대로 작품을 썼다면 그와는 완전히 다른 표현이나 문장으로 표현해야 한다. 자신만의 표현과 문장을 재생산해 내는 것이다. 말하자면 재창조 이뤄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누가 봐도 베낀 흔적이 역력히 들어난다.

 

 

환골탈태(換骨奪胎) 뜻

 

환골탈태(換骨奪胎)
換 : 바꿀 환, 骨 : 뼈 골, 奪 : 빼앗을 탈, 胎 : 아이밸 태

 

환골(換骨)은 옛사람의 시문(詩文)을 본떠서 어구를 만드는 것, 탈태(奪胎)는 고시(古詩)의 뜻을 본떠서 원시(原詩)와 다소(多小) 뜻을 다르게 짓는 것을 말한다.

 

①옛 사람이나 타인(他人)의 글에서 그 형식(形式)이나 내용(內容)을 모방(模倣)하여 자기(自己)의 작품(作品)으로 꾸미는 일을 말한다.
②용모(容貌)가 환하고 아름다워 딴 사람처럼 됨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환골탈태(換骨奪胎)는 뼈를 바꾸고 태를 빼낸다는 뜻으로 몸과 얼굴이 몰라볼 만큼 좋게 변한 것을 비유하는 말.

 

환골탈태(換骨奪胎) 유래

 

 

소동파와 함께 복숭을 대표하는 시인 황정견은 이렇게 말했따. "시의 뜻은 끝이 없지만 사람의 재주는 한계가 있다. 한계가 있는 재주로 끝없는 뜻을 쫓기란 도연명이나 두보라해도 어렵다. 뜻을 바꾸지 않고 단어를 바꾸는 것을 환골법이라 하고, 뜻을 따라서 표현하는 것을 탈태법이라 한다.

 

환골(換骨奪)이란 본래 도가에서 영단을 먹어 일반 사람의 뼈를 선골로 만드는 것이다. 탈태(奪胎)는 어머니의 태내에서 아기가 있는 것처럼 시인의 사상을 태로 삼아 시적 성취를 이루는 것이다. 황정견이 소동파와 자웅을 겨루는 시인이 된 것은 독자적인 자신만의 시적 성취에 있었다. 황정견의 말에서 유래된 것이 환골탈태(換骨奪胎)입니다.

 

환골탈태(換骨奪胎)를 잘 하려면 고인의 시를 많이 읽고, 전해 내려오는 자료(資料)를 많이 수집하여 섭렵(涉獵)해야 하며 항상 자구를 다듬는 일에 정진(精進)해야 한다. 이렇게 꾸준히 노력(努力)하지 않으면 자칫 모방이나 표절에 머물기가 쉽다.

호연지기(浩然之氣) 뜻과 유래에 앞서

 

무엇에도 구애받지 않아 자유롭고, 조금의 부끄러움도 없는 용기를 호연지기(浩然之氣)라 한다. 호연지기(浩然之氣) 뜻과 유래에 대해서 과거 우리 선비들의 자세를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선비 정신이란 절개와 의리를 소중히 하며, 청렴결백하여 하늘과 땅을 우러러 부끄러움이 없는 마음을 말한다. 이런 정신으로 무장한 사람을 선비라 한다. 선비는 성품이 곧고 강직하며, 옳고 그름을 분명히 한다. 옳은 것은 목숨을 걸고 저항하되, 옳지 않은 것에는 단호하다. 또한 선비는 학문을 좋아해 즐기며 안빈낙도하는 삶을 추구하였다.

 

선비는 학문을 통해 자신만의 사상과 철학을 세우고, 몸과 마음을 수양하기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하늘의 기운과 땅의 기운을 받아 원기가 왕성하며, 굳건한 정신을 간직한다. 선비의 호연지기(浩然之氣)다. 따라서 선비는 마음의 뿌리가 탄탄하고 경거망동하지 않는다.

 

초야에 묻혀 지내기를 즐기는 선비도 있지만, 조정에 출사해서 나라와 백성을 위해 드높은 기상을 품고 헌신한 선비도 있었다. 무신 중에도 드높은 기상과 강직하고 곧은 성품으로 나라와 백성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친 사람이 적지 않다. 이처럼 강직한 절의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어린 시절부터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길러 몸과 마음을 강하게 단련했기 때문이다.


호연지기(浩然之氣) 뜻

 

호연지기(浩然之氣)
浩 넓을 호, 술 거를 고, 然 그럴 연/불탈 연, 之 갈 지, 氣 기운 기, 보낼 희

 

①도의(道義)에 근거(根據)를 두고 굽히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바르고 큰 마음 
②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정기(精氣)  
③공명정대(公明正大)하여 조금도 부끄럼 없는 용기(勇氣)  
④잡다(雜多)한 일에서 벗어난 자유(自由)로운 마음


호연지기(浩然之氣)는 세상에 꺼릴 것이 없는 크고 넓은 도덕적 용기를 말한다.

 


 

호연지기(浩然之氣) 유래

 

제자 공손추가 맹자에게 물었다. 선생님께서 제나라의 재상이 되시어 도를 행하신다면 분명 제나라가 천하의 패자가 될 것입니다. 그럴 경우를 생각하면 선생님께서도 역시 마음이 움직이시겠지요?

 

맹자가 말했다. 그렇지 않다. 나이 마흔 이후로는 마음을 움직이지 않았다. 이후 맹자와 공손추는 움직이지 않는 마음에 관해 문답을 주고 받았다. 특히 고자의 주장과 다른 점을 논한다. 고자는 '사람의 본성은 원래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며 맹자의 성선설을 반박한 제나라의 사상가이다. 이어서 공손추가 다시 물었다.

 

감히 묻겠습니다. 선생님은 어떤 점이 뛰어나십니까? 나는 말을 잘 이해하며,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잘 기른다. 호연지기(浩然之氣)란 무엇입니까? 말하기가 어렵다. 호연지기(浩然之氣)는 지극히 크고 강하다. 곧게 길러 해함이 없으면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다. 그 기운은 의(義)와 도(道)와 함께 길러지니, 이것이 없으면 시들어 버린다.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맹자가 제자 공손추에게 한 말에서 유래되었다. 누구나 몸과 마음을 굳건히 하여 꾸준히 수양을 쌓으면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기를 수 있다.

호가호위(狐假虎威)에 앞서

 

최근 국정농단 사건처럼 남의 권세를 등에 업고 위세를 부리는 사람을 의미하는 호가호위(狐假虎威)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허세와 허풍으로 자신을 포장하는 사람이 있다. 대개 자신감이 없고 능력도 없어서 사기성이 농후하다. 남 앞에 나서기를 좋아하고,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욕망으로 가득 차 있다. 남의 힘을 빌려서라도 자신이 추구하는 것을 이루고 싶어한다. 그리고는 마치 자신의 실력과 노력으로 이룬 양 거드름을 피우고, 방자함이 하늘 높을 줄 모른다.

 

빈수레가 요란하다는 말은 이런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다. 자신을 포장하는 사람은 오래가지 못한다. 진리는 언제나 원점으로 돌아오는 법이다. 모든 것이 허위와 허세라는 것을 스스로 드러내고 만다. 날마다 신문 지면을 장식하는 단골 주제는 부정과 비리이야기입니다.

 

고위 공직자 아들과 딸을 취업, 진학시키기 위해 직위를 이용하는 것은 다반사입니다. 심지어 권력자의 이름을 팔아 청탁하거나 돈을 착복하는 등의 경우는 비일비재합니다. 힘 있는 자에게 빌 붙어 자신을 드러내는 썩어 빠진 생각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의 말로는 늘 처절했다는 것은 역사가 증명해줍니다.

 

호가호위(狐假虎威) 뜻

 

호가호위(狐假虎威)
狐 여우 호, 假 거짓 가, 虎 범 호, 威 위엄 위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威勢)를 빌려 호기(豪氣)를 부린다'는 뜻으로 남의 세력(勢力)을 빌어 위세(威勢)를 부림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다.


전한(前漢) 시대의 유향(劉向)이 편찬한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가호위(假虎威)' '가호위호(假虎威狐)'라고도 한다. 오늘날 이 말은 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의 권위를 빌려 허세를 부리는 경우에 사용된다.

 


호가호위(狐假虎威) 유래

 

춘추 전국 시대 초기 초나라 선왕 때의 일이다. 어느 날 선왕은 위나라 사신으로 왔다가 신하가된 강에에 물었다. "위나라를 비롯한 북방 나라들이 우리나라의 재상 소해휼을 두려워하고 있다는데, 그것이 사실인가?" 강을이 말했다. "아닙니다. 북방 나라들이 어째 재상에 불가한 소해휼을 두려워하겠습니까?" 혹시 호가호위(狐假虎威)라는 말을 알고 계십니까?"

 

"호랑이한테 잡아 먹히게 된 여우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를 모든 짐승의 우두머리로 정하신 전체의 명이 잇었다. 네가 지금 나를 잡아먹는다면 천체의 명을 어겨 천벌을 받을 것이다. 만약 네말을 못 믿겠으면 당장 내 뒤를 따라와 보아라. 나를 보고 달아나지 않는 짐승은 단 한마리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호랑이가 여우를 따라갔는데, 과연 여우의 말대로 만나는 짐승마다 혼비백산하여 달아났습니다. 사실 짐승들이 달아난 이유는 여우 뒤에 있는 호랑이 때문입니다. 호랑이만 그 사실을 전혀 깨닫지 못했다고 합니다. 소해휼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지금 북방 나라들은 소해율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의 배후에 있는 초나라의 군세를 두려워하는 것입니다.

 

여우는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자신이 강한 동물인 척 허세를 부리는 것이다. 힘 있는 자에게 빌붙어 자신의 뜻을 이루려는 사람은 호가호위(狐假虎威)의 전형이라고 하겠다.

형설지공(螢雪之功)에 앞서

 

형설지공(螢雪之功)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부지런히 학문을 닦고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성공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이나 살고 있는 사람 중에는 좋은 환경 속에서 꿈을 이룬 이들도 있지만, 가난하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노력 끝에 꿈을 이룬 이도 많다. 금수저, 은수저, 흙수저라며 이른바 수저 계급론이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지금,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꿈을 이루고 성공적인 인생을 산 사람들을 말하는 것이 어쩌면 공감대가 떨어지지는 않을까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그래도 지금껏 살아오는 동안 느끼고 경험한 바에 비추어 본다면 환경 탓만 하기에는 비굴한 변명 같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부족한 노력과 열정을 사회 현상에 기대 상쇄시키려는 느낌이 든다. 물론 좋은 환경을 아들딸에게 만들어 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힘들어도 해야 한다. 주저앉아 버리면 일어서기가 매우 힘들다. 아파도 내 인생, 슬퍼도 내 인생, 고달파도 내 인생, 외로워도 내 인생이다. 결국은 내가 해결해야 한다.

 

형설지공(螢雪之功) 뜻

 

형설지공(螢雪之功)
螢 반딧불이 형, 雪 눈 설, 之 갈 지, 功 공 공

 

반딧불과 눈빛으로 이룬 공이라는 뜻으로 가난을 이겨내며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工夫)하여 이룬 공을 일컫는 말


가난한 사람이 반딧불과 눈빛으로 글을 읽어가며 고생 속에서 공부함을 일컫는 것을 말한다. 어려운 처지에서 공부하는 것을 '형설지공' 또는 단순히 '형설'이라고 한다. 또 공부하는 서재를 형창설안(螢窓雪案)이라고도 한다.

 

 

형설지공(螢雪之功) 유래

 

진나라 효무제 때 차윤이라는 이가 있었다. 그는 어려서부터 성실하고 학문에 뜻이 많았다. 하지만 집안이 워낙 가난하여 낮에는 염심히 일을 하여 생활비를 벌고, 밤에는 기름 살 돈이 없어 개똥벌레를 잡아 명주 주머니에 넣어 빛으로 삼고 공부하였다. 각고면려하며 공부한 끝에 훗날 벼슬이 상서랑까지 이르렀다.

 

같은 시대에 손강이란 이가 있었다. 역시 어려서부터 학문에 대한 열정이 대단하였으나, 집이 가난하여 기름 살 돈이 없었다. 그는 겨울이 되면 창가에 앉아 밖에 쌓인 눈에서 반사되는 빛을 등불 삼아 공부하였다. 손강은 훗날 어사대부가 되었다.  당나라 이한이 지운 <몽구>와 <진서> <차윤전>에 나오는 이야기다.

 

차윤과 손강은 가난하고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피나는 노력 끝에 성공하였다. 어떤 한경도 불굴의 의지와 신념을 가진 자에게는 손을 들게 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꿋꿋하게 자신의 길을 걸어왔던 수많은 이들의 공통점이 있다.

 

첫째, 자신에게 주어진 환경을 탓하지 않는다. 둘째, 강철 같은 의지와 신념으로 무장하였다. 셋째, 어쩌한 것에도 꺽이지 않는 정신을 지녔다. 넷째, 청렴하고 결백했다. 다섯째, 남을 탓하지 않고 모든 것을 자신에게 돌렸다. 여섯째,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았다. 현실은 지난날과 다르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진리는 변하지 않는다. 노력하는 자에게 반드시 성공의 길이 열릴 것이다.

화중지병[ 畵中之餠 ]에 앞서

 

▶ '그림의 떡'이란 표현이 속담인 줄 알았는데 그림의 떡 사자성어가 있네요. 오늘의 사자성어는 그림의 떡 화중지병[ 畵中之餠 ]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와 동일한 의미로 '농병황지'도 사용되어 집니다.

 

▶ 사람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뉜다. 첫째는 실속형 인간이다. 사실적이고 분명한 일에 자신의 열정과 노력을 쏟아 붓는다. 그 결과는 실제적이면서도 확실하다. 둘째는 어중간한 인간이다. 자기 주관이 불분명하고 귀가 얇아 남의 말에 쏠리는 현상이 크다. 결과가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어 불확실성을 벗어나지 못한다. 세 번째는 비실속형 인간이다. 뜬구름 잡기의 고수여서 하는 일마다 허황되고 비현실적이며 위태위태하다. 결과는 언제나 무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아까운 시간을 낭비하며 세월을 축낸다. 가질 수 없는 것에 애착을 가지고 전전긍긍해 봤자 소용이 없다. 능력 밖의 일은 한시라도 빨리 포기하는 편이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화중지병[ 畵中之餠 ] 뜻

 

화중지병[ 畵中之餠 ]
畫 그림 화,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 餠 떡 병

 

그림 속의 떡이란 뜻으로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①바라만 보았지 소용(所用)이 닿지 않음을 비유(比喩ㆍ譬喩)한 말이다.
②보기만 했지 실제(實際)로 얻을 수 없음을 뜻한다.
③실속(實-)없는 말에 비유(比喩ㆍ譬喩)하는 말이다.

 

마음에는 있으나 차지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죠. 병(餠)은 우리말로 떡을 뜻합니다. 즉 있으나 마나 한 것이나 가질 수없는 것을 비유할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그림의 떡'입니다.이와 동일한 의미의 사자성어 '농병황지'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농병황지[弄兵潢池] 뜻

 

농병황지[弄兵潢池]
독 옹, 셈 산, 그림 화/그을 획, 떡 병

 

독장수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헛된 생각일 뿐이고,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뜻합니다.

 

화중지병[ 畵中之餠 ] 유래

 

위나라 사람 노식에게는 노육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노육은 열 살에 고아가 되었고 전쟁으로 두 형 마저 잃었다. 원소와 공소찬이 싸울 때 유주와 기주에 흉년이 들어 홀로된 형수와 조카들을 보살폈다. 학문이 높고 덕행도 뛰어나 널리 알려졌다. 명제는 그를 등용하여 시중, 이부상서, 중서랑 드의 요직에 임명하였다.

 

하루는 명제가 노육에게 말했다. "인재를 얻고 못 얻음은 그대의 손에 달렸소. 명성만 높은 사람은 뽑지 마시요. 명성은 땅 위에 그려 놓은 떡과 같아서 먹을 수가 없소(화중지병[ 畵中之餠 ]). "명성만으로는 뛰어난 사람을 뽑기에 부족하지만, 평범한 선비는 가르침을 존경하고 선(善)을 흠모하고 찬양하여 명성을 얻습니다.

 

명성을 굳이 미워할 바는 아니옵니다. 예전에는 말로써 아뢰고 공적으로 뽑았습니다. 지금은 관리의 성적을 평가하지 못하고 비방과 칭찬이라는 평판으로 진퇴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진짜와 가짜가 섞여 있으며, 허와 실을 가리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명제는 노육의 말을 듣고 관리의 성적을 평가하는 제도를 다시 시행했다고 한다.

 

명제는 명성이 단지 '그림의 떡(화중지병[ 畵中之餠 ])'이라고 하며 실제적이지 않다고 강조하였다. 노육 역시 명성만으로는 뛰어난 사람을 뽑을 수 없지만, 그렇다고 무시할 것은 아니라고 했다. 아울러 관리의 성적을 평가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하였다. 시험은 명성과 실력을 파악 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확고한 자신만의 삶을 살기 위해서는 허황된 생각에서 벗어나 실체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