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테온(로마 신전)

 

▶판테온(라틴어: Pantheon)

 

그리스어 ‘판테이온(Πάνθειον)’에서 유래한 말로, “모든 신을 위한 신전”이라는 뜻이다. 고대 로마의 신들에게 바치는 신전으로 사용하려고 지은 로마의 건축물로, 하드리아누스 황제 때인 서기 125년경에 재건되었다. 모든 고대 로마 건축물 가운데 가장 보존이 잘 되어 있고, 전 세계를 통틀어 당대 건물 가운데서도 가장 보존 상태가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역사적으로 판테온은 쭉 사용되어 왔다. 현존하는 건물의 설계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건축가인 다마스쿠스의 아폴로도루스가 했다는 견해도 있으나, 이 건물 자체와 건물의 설계는 하드리아누스 황제나 그의 건축가들이 공로했을 가능성이 크다.

 

7세기 이후부터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당으로 사용되고 있다. 판테온은 현재 로마에서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돔 구조이다. 바닥에서 원형 구멍까지의 높이와 돔 내부 원의 지름은 43.3m로 같다.

 

일단 판테온 안에 들어서면, 속세로부터 갑자기 격리된 듯한 느낌이 든다. 골목길과 광장에서 들리던 소음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폭풍우 지난 후의 바다와 같은 잔잔한 분위기에 휩싸이게 된다.

 

판테온의 내부는 거대한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흙을 이겨서 그릇을 만드는 경우, 그릇으로서의 쓰임새는 그릇 가운데를 비움으로써 생긴다(挻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라는 노자의 말을 음미하게 한다.

 

고대 이집트나 수메리아, 크레타와 미케네, 그리고 에트루리아와 그리스 등 로마보다 시대적으로 앞선 문명권에서는 판테온처럼 ‘비어 있는 내부 공간’이 무엇인지 전혀 알지 못했다. 이런 ‘비어 있는 공간’ 안에서는 눈앞의 공간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등 뒤의 공간도 느껴진다.

 

 

▶천체와 우주의 상징

 

간결하면서도 품위 있는 외형을 지닌 판테온은 신전 건축이란 면에서 보면 매우 파격적이다. 그 형태는 입구의 삼각지붕이 있는 부분과 내부의 원통형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신전의 입구를 신상 안치소(naos) 앞(pro)에 있다고 하여 그리스어로 프로나오스(pronaos)라고 한다. 판테온의 프로나오스는 16개의 거대한 이집트 산 화강암 통돌 기둥들이 지붕을 받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신전 건축에서 프로나오스 안쪽에는 기둥이 없는 것이 원칙이지만, 판테온에서는 이런 원칙이 무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신상 안치소는 사제만 들어갈 수 있는 좁은 공간인 데 반해, 판테온에서는 넓은 내부 공간 그 자체가 신상 안치소였으며, 사제뿐 아니라 누구나 안에 들어가 종교의식을 할 수 있었다.

 

고대인들은 이러한 수의 조화나 기본도형과 기본고형체에 신성한 의미를 부여했다.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면체, 원통형, 피라미드와 원뿔형 등과 같은 도형이나 고형체는 모두 하나의 구형 속에 담을 수 있는데 이것은 우주의 형상이며 천체의 모습이었던 것이다.

 

▶ 신전 건축의 원전

 

608년 동로마제국 황제 포카스가 판테온을 교황 보니파치우스 4세에게 기증한 이후, 로마 최고의 범신전은 ‘순교자들의 성모 마리아 성당(Santa Maria dei Martiri)’으로 변모되었다. 기독교의 입장에서 보면 이교도의 신전에서 기독교 성전으로 바뀐 것이다. 그 덕택에 판테온은 다른 고대 로마의 건축물과는 달리 ‘채석장’으로 전락하지 않고, 지금까지 그나마 제대로 잘 보존되어 내려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테온도 ‘수난’을 당한 적이 있다.

 

1624년 교황 우르바노 8세는 25세의 젊은 예술가 베르니니(1598~1680)에게 베드로 대성당 안에 있는 베드로의 묘소를 덮는 거대한 제단을 제작하기 위해 판테온에 있던 청동 구조물과 청동 장식물들을 모조리 뜯어오도록 했다. 우르바노 8세는 바르베리니(Barberini) 가문 출신인데, 당시 로마 시민들은 “바르바리(야만인)도 하지 않는 짓을 바르베리니가 했다(Quod non fecerunt barbari, fecerunt Barberini)”라고 빈정댔다. 다행스럽게도 판테온 입구의 거대한 청동문은 지금도 2000년 전의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