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피의 법칙과 샐리의 법칙

 

머피의 법칙을 우리 식으로 표현하면  "뒤로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 "미팅만 나가면 어디서 이런 *** 나오는 거야" 등이 될 것이다. 샐리의 법칙도 우리식으로 표현해보면 "뭘해도 된다, 지각했는데 때마침 자리에 없는 선생님"와 같이 행운이 계속 따르는 것을 말한다. 이 두가 표현만 놓고 보면 샐리의 법칙은 온 몸으로 환영할 법칙이고 머피의 법칙은 멀리해야 하는 법칙이다. 쉽게 생각하면, 일어날 확률이 1퍼센트밖에 되지 않는 나쁜 사건이 계속 벌어지면 머피의 법칙에 해당하고, 일어날 확률이 1퍼센트밖에 되지 않는 좋은 사건이 계속되면 샐리의 법칙에 해당한다.

 

머피의 법칙(Murphy's Laws)

 

머피의 법칙이란 ‘잘못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반드시 잘못되고야 만다.’는 것으로 일이 예상과는 달리 잘 풀리지 않을 때 사용되는 표현이다. 사소한 선택이 나쁜 결과를 불러오거나, 좋지 않은 일들이 자꾸 반복되며 일이 자신이 원하는 방향과는 반대로 흘러가는 경우에 주로 쓴다. 반대로 자신에게 유리하고 좋은 일들이 우연히 반복되는 것은 샐리의 법칙(Sally's law)이라 한다.

 

1949년 미국의 항공 엔지니어인 에드워드 머피(Edward A. Murphy)가 충격 완화 장치 실험이 실패로 끝나자, “잘못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항상 잘못된다(Anything that can go wrong will go wrong)”로 말한 것에서 유래된 것으로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일이 진행될 때 샤용한다.


① 순전히 우연의 결과인데 나쁜 결과에 대한 느낌이 강하게 남아서 항상 나쁜 결과가 생기는 것처럼 느낀다.
② 실제로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서 그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머피의 법칙은 미국 작가 아서 블로크(Arthur Bloch, 1948~)가 1975년부터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관련 이야기들을 모은 책을 시리즈로 출간하면서 널리 알려졌는데, 누가 원조냐 하는 걸 두고 논쟁이 제법 치열하다.

 

일반적으로 머피의 법칙을 반박하는 이들은 공교롭게도 일이 잘 안 풀린 경우나 아주 재수가 없다고 느끼는 일만 또렷하게 기억하는 이른바 '선택적 기억(selective memory)'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자신이 당황했거나 손해를 본 경험은 오래 기억하기 마련이고, 또 그래서 쉽게 기억나는 일일수록 그 일이 일어난 확률을 높게 매기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또 사람들이 모든 현상의 원인을 찾으려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심리적 현상, 즉 논리학에서 말하는 '거짓 원인의 오류(the fallacy of false cause)'로 설명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머피의 법칙'이 아니라 '머피의 오류'인 셈이다.

 

1997년 머피의 아들은 '머피의 법칙'에 관한 논문이 실린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에 편지를 보내, 아버지 머피는 조종사의 안전을 위해 아주 낮은 확률의 사고라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완벽주의자로서 '머피의 법칙'은 일상사의 불운을 다룬 법칙이 아니라, 혹시 벌어질지 모르는 만약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하자는 뜻에서 제안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세상은 '머피의 법칙'을 주로 일상사의 불운을 다룬 법칙으로 많이 쓰는 걸 어이하랴

 

 

샐리의 법칙(Sally's law)

 

머피의 법칙과 반대로 계속해서 자신에게 유리한 일만 일어남을 뜻한다. 예를 들어 약속 시간보다 늦게 약속 장소에 도착했더니 자신의 기분을 알기라도 하듯 상대방은 자신보다 약간 늦게 도착하는 경우, 또는 맑은 날에 우산을 들고 나왔더니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는 경우, 시험 공부를 하지 않았는데 시험 직전에 급하게 펼쳐 본 부분에서 시험 문제가 출제된 경우 등이 모두 샐리의 법칙에 해당한다.


여기서 샐리는 1989년에 제작된 라이너(Rob Reiner) 감독의 미국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 When Harry Met Sally》에서 계속 좋지 않은 일만 일어나다가 결국은 해피엔딩으로 이끌어 가는 여주인공 샐리의 모습에서 빌려 온 것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좋은 일이 생기고 부정적으로 생각하면 나쁜 일만 생긴다. 자신에게 생긴 일을 무조건 ‘운의 탓’으로 돌릴 필요는 없다. 그 일을 확대해석하여 ‘징크스’로 고정시킬 필요 또한 없다.


 

인생을 살다 보면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다. 이것은 단지 어떤 일이 일어날 확률의 차이에 불과하다. 매사 부정적으로 생각하면서 본인의 의지마저 꺾는 것보다 샐리의 법칙을 염두에 둔 채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행운이 일어날 것을 믿으면 더욱 나다운 내가 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