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순서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제사로 절사 또는 다례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설과 추석에 조상을 기리는 의례입니다. 기제사는 고인이되신 한분에게 지내는 의례인 반면 차례는 조상에 대한 숭배에 의례입니다. 차례를 지낼 때 음식을 제수라고 하는데 조리방법과 순서를 지역과 가풍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지만 조상을 기리는 의미는 같기에 정성스럽게 준비합니다.

 

차례상은 일반적으로 제사 상차림과 크게 틀리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차례상 차림은 제사와 동일하게 5열을 기준으로 합니다. 자례상에 올리는 음식 준비를 진설이라고 하며 설날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순서

 

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상을 차리는 사람을 기준으로 맨 앞 줄인 신위에서 마지막 줄인 5열의 순서로 차립니다. 설 차례상 순서인 5열에서 1열인 신위까지의 순서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순서 : 5열 ~ 신위

 

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 / 다음백과

 

설 차례상 차리는 순서 5열은 과일류와 대추, 밤, 배, 감, 사과, 한과류를 올립니다. 이에 쓰이는 차례상 어구로는 조율이시와 홍동백서가 있다. 조율이시는 좌측으로 부터 대추, 밤, 배, 곶감의 순서로 올리는 것을 의미하며 홍동백서는 동쪽에는 붉은 과일(사과, 딸기 등)과 서쪽에는 흰 과일(배 등)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

 

4열은 나물류를 올린다. 이와 관련된 어구로는 좌포우혜, 서포동해 숙서생동 등이 있다. 좌포우헤는 좌측에 포, 우측에 식혜를 올린다는 것을 말하며, 서포동해는 서쪽에는 포 동쪽에는 생선 젓과 식혜를 의미한다. 숙서생동은 서쪽에는 익힌 나물과 동쪽에는 생김치를 의미한다. 지역에 따라 식혜를 3열 또는 4열에 올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3열은 탕을 올린다. 탕에는 육탕(류), 소탕(두부, 채소류), 어탕(어패류) 등 3가지가 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은 적(구이)를 2열 또는 3열에 올린다. 그리고 3열 양 끝에는 촛대를 올린다. 3열에 적용되는 어구는 어동육서가 있다. 동쪽에는 생선을 서쪽에는 육류를 올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2열은 튀김류와 산적을 올린다. 서쪽에서부터 육전(기름에 부친 육류전), 육적(구운 고기류), 소적(두부 부친 것), 어적(구운 생선류), 어전(기름에 붙인 생선류)을 올린다. 2열과 관련된 어구는 동두서미와 적접거중이 있다. 동두서미는 머리는 동쪽을 향하고, 서쪽에는 꼬리가 향한다의 의미다. 적접거중은 구이(적)를 중앙에 올린다는 뜻이다.

 

1열 신위는 상을 차리는 사람입장에서는 가장 멀리 있는 마지막 줄이다. 1열에는 수저와 밥, 잔, 국을 올린다. 차례상과 제사상에 밥은 '메', 국은 '갱'이라 한다. 명절에 따라 떡국과 송편을 올리기도 한다. 1열과 관계된 어구는 좌반우갱이 있다. 좌측에는 메를 우측에는 갱을 올린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사상과 차레상 차리는 방법

 

제사상과 차례상 차리는 방법의 큰 차이는 없다. 기본적으로 5열을 기준으로 하되 기일 제사 상차림처럼 1분이 대상이 아니고 조상이 대상이란 점에서 메와 갱의 수량적 차이가 있다. 또한 명절 대표 음식인 떡국과 송평을 올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외 큰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역별 차례상 진설법이 있다. 지역의 특색을 가진 음식들을 올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충청도 차례상에는 삶은 닭고기와 명태를 진설한다. 전라도의 경우에는 홍어를 비롯해 병어, 낙지, 꼬막과 같은 해산물을 진설한다. 경상도 차례상에는 돔베기, 문어, 조기 등을 진설하기도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