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강오륜(三綱五倫)

 

유교 도덕의 기본 덕목인 삼강(三綱)과 오륜(五倫)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이 중 삼강(三綱)은 상하가 철처한 절대적이고 일방적인 윤리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우리의 경우도 유교가 도입되고 통치이념으로 자리잡으면서 삼강의 윤리가 통치체제를 지탱하는 기틀이 되었다. 오륜(五倫)도 삼강과 마찬가지로 상하관계적 질서의 확립을 통해 봉건적 신분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지배층의 통치개념으로 볼 수 있다.

 

 

■ 삼강오륜(三綱五倫) 유래와 현대적 의미

 

삼강오륜은 원래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1431년(세종13)에는 집현전 부제학 설순(偰循) 등이 왕명에 따라 삼강의 모범이 될만한 충신 · 효자 · 열녀를 각각 35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하는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나타나고 있는 정치, 가정, 사회의 여러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삼강오륜과 같은 전통적 윤리질서를 봉건적 잔재라고 쉽게 무시해버리지 말고, 그 현대적 해석이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이 필요함을 느낀다. 

 

 ■ 삼강오륜(三綱五倫) 뜻

 

삼강오륜(三綱五倫)

三 : 석 삼, 綱 : 벼리 강, 五 : 다섯 오, 倫 : 인륜 륜(윤) 

 

유교(儒敎)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 유교(儒敎) 도덕(道德)의 바탕이 되는 세 가지 강령(綱領)과 다섯 가지의 인륜(人倫)을 이르는 말이다.

 

① 삼강(三綱)은 유교(儒敎) 도덕(道德)이 되는 세가지 뼈대가 되는 줄거리로서,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남편(男便)과 아내(夫爲婦綱), 부모(父母)와 아들(父爲子綱)이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道理)

 

②오륜(五倫)은 유교(儒敎) 실천(實踐) 도덕(道德)에 있어서 기본(基本)이 되는 다섯가지의 인륜(人倫)(君臣有義, 父子有親,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을 말함  

 

■ 삼강(三綱) 뜻

 

삼강(三綱)은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어버이와 자식(父爲子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삼강은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이다.

 

군위신강(君爲臣綱)

임금 군, 삼을 위, 신하 신, 벼리 강

 

임금과 신하 사이에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부위자강(父爲子綱)

아비 부, 삼을 위, 자식 자, 벼리 강

 

부모와 자식 사이에 지켜야 할 떳떳한 도리 

 

부위부강(夫爲婦綱)

지아비 부, 삼을 위, 지어미 부, 벼리 강

 

부부 사이에 지켜야 하는 떳떳한 도리 

 

오륜(五倫) 뜻과 유래

 

오륜(五倫)은 유교에서 말하는 5가지 기본적 실천덕목(實踐德目)으로 인생에 있어 대인관계를 5가지로 정리하여 서로 지켜야 할 의무를 말한다.

 

오륜은 오상(五常) 또는 오전(五典)이라고도 하며 ≪맹자≫에 나오는 말이다. 즉 “부모는 자녀에게 인자하고 자녀는 부모에게 존경과 섬김을 다하며(父子有親), 임금과 신하의 도리는 의리에 있고(君臣有義), 남편과 아내는 분별있게 각기 자기의 본분을 다하고(夫婦有別),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하며(長幼有序), 친구 사이에는 신의를 지켜야 한다(朋友有信).”는 것이다. 이 중에서 장유유서는 집안과 집밖의 양쪽에 해당되는 것으로 집안에서는 형제의 차례를 말하고 사회생활에서는 연장자와 연소자의 차례를 말한다.

 

오륜(五倫) 

 

부자유천(父子有親):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의 도리는 의리에 있음을 이른다.

부부유별(夫婦有別):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붕우유신(朋友有信): 벗과 벗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