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사 새옹지마(人生事 塞翁之馬)란 말 말이 들어보셨죠. 우리 인생이 언제, 어떻게 바뀔지 알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슬프고 힘들어도 이런 아픔도 복이 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인생사 새옹지마(塞翁之馬)와 전화위복(轉禍爲福)의 뜻과 유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생사 새옹지마(人生事 塞翁之馬) 뜻

변방새, 늙은이 옹, 조사 지, 말 마

 

변방에 사는 늙은이의 말이란 뜻으로 세상의 좋고 나쁨을 미리 예측할 수 없다는 말이다. 변방의 노인의 말처럼 복이 화가 되기도 하고, 화가 복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간사란 말을 붙이게 되면 다음과 같은 뜻이됩니다. 인간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이 새옹지마니 눈앞에 일어나는 결과만 가지고 너무 연연하지 말라는 의미가 됩니다. 결국 일일희비하지 말라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새옹지마(塞翁之馬) 유래

 

중국 국경 지방에 한 노인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노인이 기르던 말이 국경을 넘어 오랑캐 땅으로 도망쳤습니다. 이에 이웃 주민들이 위로의 말을 전하자 노인은 “이 일이 복이 될지 누가 압니까?” 하며 태연자약(泰然自若)했습니다. 그로부터 몇 달이 지난 어느 날, 도망쳤던 말이 암말 한 필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주민들은 “노인께서 말씀하신 그대로입니다.” 하며 축하하였습니다. 그러나 노인은 “이게 화가 될지 누가 압니까?” 하며 기쁜 내색을 하지 않았습니다. 며칠 후 노인의 아들이 그 말을 타다가 낙마하여 그만 다리가 부러지고 말았습니다. 이에 마을 사람들이 다시 위로를 하자 노인은 역시 “이게 복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오.” 하며 표정을 바꾸지 않았습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북방 오랑캐가 침략해왔습니다. 나라에서는 징집령을 내려 젊은이들이 모두 전장에 나가야 했습니다. 그러나 노인의 아들은 다리가 부러진 까닭에 전장에 나가지 않아도 되었습니다.


 

전화위복(轉禍爲福)

구를 전, 재앙 화, 위할 위, 복 복

 

화가 바뀌어 복이 된다는 의미로 어떤 불행한 일이라도 끊임없는 노력과 강인한 의지로 힘쓰면 불행을 행복으로 바꿀 수 있다는 뜻입니다. 좋지 못한 일이 있을 때 전화위복(轉禍爲福)의 기회를 삼아라고 자주 말하곤 합니다. 고사성어에서는 불운을 강한 정신력과 노력으로 극복을 강조했지만 현대에 이르러서는 '전화위복이 될거다' 등의 요행이 강조되곤 한다.

 

 

전화위복(轉禍爲福) 유래

 

전국시대 합종책(合從策)으로 한(韓), 위(魏), 조(趙), 연(燕), 제(齊), 초(楚)의 여섯 나라 재상을 겸임하였던 소진(蘇秦)도 《전국책(戰國策)》의 〈연책(燕策)〉에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였다고 한다. “옛날, 일을 잘 처리했던 사람은 화를 바꾸어 복이 되게 했고[轉禍爲福], 실패한 것을 바꾸어 공이 되게 하였다[因敗爲功].”

 

신상필벌(信賞必罰)

읍참마속(泣斬馬謖)과 일벌백계(一罰百戒)

 

 

신상필벌(信償必罰) 뜻과 유래

신상필벌의 대표적인 사자성어인 읍참마속과 일벌배계의 뜻과 유래를 알아보겠습니다. 신상필벌은 공이 있는 사람에게는 상을 주고, 죄를 범한 자에게는 반드시 벌을 준다는 사자성어입니다. 제왕학의 교과서 한비자에서 유래되었고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습니다.

 

'정당한 보상은 낭비가 아니고 정당한 형벌은 포악이 아니다. 공로가 있으면 상을 주고 죄가 있으면 반드시 벌을 주면 싸우게 할 수 있다.'라고 답한 내용 중 하나입니다. 강력한 군대와 국방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 신상필벌이었습니다. 

 

 

읍참마속(泣斬馬謖) 뜻과 유래

울 읍, 벨 참, 말 마, 일어날 속

 

읍참마속(泣斬馬謖)은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베었다는 제갈량과 마속의 고사성어입니다. 공정한 업무 처리와 법 적용을 위해 사사로운 정을 포기함을 가르킬 때 읍참마속(泣斬馬謖)이라 합니다. 제갈량이 위나라를 공격할 때 제갈량의 친구이자 참모인 마량의 아우 마속을 보내며 신중하게 처신할 것을 권유하였다.

 

그러나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어기고 다른 전략을 세웠다가 대패하고 말았다. 결국 대의를 위해 사사로운 정에 얽매이지 않고 마속의 목을 벨 수밖에 없었다. 엄격한 군율이 살아있음을 알리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일벌백계(一罰百戒) 뜻과 유래

한 일, 벌줄 벌, 일백 백, 경계할 계

 

한 사람을 벌줌으로써, 만인에게 경계가 되도록 한다는 뜻으로 신상필벌을 말할 때 읍참마속과 항상 함께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일벌백계입니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에서 유래되었다. 일벌백계(一罰百戒)는 한 사람 또는 한 가지 죄에 대해 강한 벌을 내림으로써 주위 모든 사람에게 경각심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읍참마속과 일벌백계의 사용예 : 군대의 질서 사회의 기강을 위해 읍참마속의 마음으로 일벌백계로 다스려야 합니다. 

 

신상필벌 기본 원칙 결론

 

신상필벌의 기본인 읍참마속과 일벌백계를 알아보았습니다. 신상필벌 법칙 중 벌에 관련한 사자성어였습니다. 둘다 대의를 위해 사소한 정에 얽매이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본보기로 한 사람 한 가지 죄를 엄격하게 물음으로써 주위의 경각심을 일으키는 필벌의 법칙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르시시즘 뜻과 유래

 

나르시시즘 유래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자기와 같은 이름의 꽃인 수선화가 되었다는 미소년 나르시스에서 유래되었다. 1899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 니케가 만든 말입니다. 그러나 나르시시즘이 널리 알려진 것은 S 프로이트가 이를 정신 분석 용어로 도입하면서 부터입니다.

 

 

나르시시즘의 뜻과 예

 

나르시시즘 뜻은 자기자신에게 애착하는 정신분석학적 용어로 자기애(自己愛)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보다 쉽게 이야기하면 자기 자신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자아도취'의 인격장애라 할 수 있습니다. 정신분석에 따르면 유아기가 1차적 나르시시즘이라 한다. 유아기처럼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상태로 돌아간 것을 2차적 나르시시즘이라 한다.

 

가볍게 생각할 수 있는 생활속의 예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여성이 오랫동안 거울 앞에서 거울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너무 아릅답다고 생각하여 황홀경에 빠져 바라보고 있다면 이것도 나르시시즘이라 할 수 있다.

 

나르시시즘의 문제점

 

나르시시즘은 극단적인 '자기애, 자아도취'인 정신질환이고 생각과 행동의 중심이 모두 자기중심적 사고를 한다. 즉, 타인의 상황이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것을 자기중심적으로 세상을 생각하고 심지어 타인을 재단하기에 까지 이른다. 최근 유시민 작가가 '썰전'에서 언급하면서 화제가 되기도한 용어입니다.

 

[오늘의 상식/알콩달콩 이야기] - 나르시스와 수선화 전설과 꽃말 이야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