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접지몽(胡蝶之夢)에 앞서

 

인생의 덧없음을 나타내는 호접지몽(胡蝶之夢)이 오늘의 고사성어입니다. 장자가 꿈에서 나비가 되어 날아 다녔다는 이야기로 장자의 나비 꿈입니다.

 

* 장자(莊子) : 중국 고대 도가의 사상가이다. 이름은 주(周)이다. 송에서 태어나 맹자와 동시대에 노자를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실재성은 의심스럽다. 도가 사상가들이 원본 '장자'를 편찬할 때, 이것을 장주(莊周)에게 기탁하여 '장자'라 명명한 듯 하다. 장자는 통일된 체계는 없지만 도가 사상의 역사적 전개를 볼 수 있다.


호접지몽(胡蝶之夢) 뜻

 

호접지몽(胡蝶之夢)
胡 : 오랑캐 호, 蝶 : 나비 접, 之 : 의 지, 夢 : 꿈 몽

 

장자(莊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닌 꿈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①현실(現實)과 꿈의 구별(區別)이 안 되는 것
②인생(人生)의 덧없음의 비유(比喩ㆍ譬喩)

 

나비가 된 꿈이라는 뜻으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 또는 인생의 무상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호접지몽(胡蝶之夢) 유래

 

이 이야기는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나온다. 호접지몽(胡蝶之夢)’은 ‘물아(物我)의 구별을 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장자(莊子)가 꿈에 나비가 되어 즐기는데, 나비가 장자인지 장자가 나비인지 분간하지 못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약해서 ‘호접몽(胡蝶夢)’이라고도 한다.

 

장주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어 꽃들 사이를 유유히 날아다니다 문득 깨어보니 나비가 아니라 분명 장주 자신이 아닌가? 장주가 꿈에서 나비가 된 건지 원래 나비인데 꿈속에서 장주가 된 건지 알 수 없었다는 말에서 유래되었다.

장자는 여기에서 장주와 나비는 분명 별개의 사물이지만, 물아의 구별이 없는 만물일체의 절대 경지에서 보면 장주도 나비도 꿈도 현실도 구분이 없으며, 다만 있는 것은 만물의 변화일 뿐이라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호접지몽’은 피아(彼我)의 구별을 잊는 것, 또는 물아일체의 경지를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는데, 오늘날에는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