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

 

평소에 자주 사용해 뜻을 알뜻 말뜻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은 온고지신(溫故知新), 후안무치(厚顔無恥), 난신적자(亂臣賊子)입니다.

 

온고지신과 후안무치는 자주쓰는 사자성어지만 난신적자는 다소 생소하시죠. 그러나 '무자식이 상팔자'라면 너무 많이 듣는 어구죠. 난신적자의 뜻입니다.

 

 

▶ 온고지신(溫故知新) : 溫(익힐 온) 故(옛 고) 知(알 지) 新(새 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통하여 새것을 앎

 

논어論語 <위정爲政>편에서 공자는 옛 것을 익히어 새로운 것을 알게 되 면 스승 노릇을 할 수 있다(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라고 하였다. 이는 과거와 현 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인과(因果) 관계 속에서 발전의 원리를 깨달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옛 것과 새로운 것의 관계에 대한 이분법적 시각은 대립과 단절만을 만들어낸다. 구세대와 신세대, 여기에 쉰 세대와 낀 세대, X세대와 Z세대라는 표현들은 모 두 지혜롭지 못한 생각에서 나온 말들이다. 올챙이를 한자로 과두( ) 라고 하 고, 올챙이 적을 가리켜 과두시절( 時節) 이라 한다.

 

올챙이 없는 개구리, 개 구리 없는 올챙이는 존재할 수 없다. 선인들의 지혜가 응축되어 있는 고사성어(故事成語)야말로 현대를 사는 우리들 에게 반성과 발전의 실마리를 제시해 주는 가장 적절한 溫故知新 의 도구이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우리말의 복습(復習) 을 온습(溫習) 이라 표현하고 있으니, 이는 배운 것을 익히고 또 익혀 늘 가슴 속에 간직한다는 의미이다. 새로이 고 사성어(故事成語) 란을 집필함에 있어, 짧지만 깊은 옛 사람들의 지혜를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마음 간절하다.

 

▶ 후안무치(厚顔無恥) 厚(투터울 후) 顔(얼굴 안) 無(없을 무) 恥(부끄러워할 치)

두꺼운 얼굴에 부끄럼은 없다

 

옛날 중국의 하나라 계(啓) 임금의 아들인 태강은 정치를 돌보지 않고 사냥만 하다가 끝내 나라를 빼앗기고 쫓겨 난다. 이에 그의 다섯 형제들은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며 번갈아가면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들의 노래는 모두 書經 의 <五子之歌>편에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막내가 불렀다고 하는 노래에는 이러한 대목이 보인다. 만백성들은 우리를 원수라 하니, 우린 장차 누굴 의지할꼬. 답답하고 섧도다, 이 마음, 낯이 뜨거워지고 부끄러워지누나.

 

 萬姓仇予, 予將疇依. 鬱陶乎予心, 顔厚有 . 厚顔 이란 두꺼운 낯가죽 을 뜻하는데, 여기에 무치(無恥) 를 더하여 후안 무치(厚顔無恥) 라는 말로 자주 쓰인다. 이는 낯가죽이 두꺼워서 부끄러운 줄을 모르는 사람 을 가리킨다. 지난 주 동안, 한보청문회에 모습을 드러낸 증인들 중 에는 후안(厚顔) 을 무기로 나온 이들이 많았다. 부끄럽게 생각합니다. 라고 말하면서도 그들의 얼굴에는 수치(羞恥)의 기색은 조금도 없었다. 만백성들은 지 금 그들이 태강의 동생들이 불렀다는 이 노래를 한번만이라도 읊조려 주기를 기 대하고 있다.

 

▶ 난신적자(亂臣賊子) 亂(어지럽힐 란) 臣(신하 신) 賊(해칠 적) 子(아들 자)

무자식이 상팔자

 

孟子 <등문공 文公>하편에는 맹자의 제자인 공도자가 제기한 논쟁에 관한 맹자의 답변이 실려 있다. 맹자는 자신이 논쟁을 피하지 않는 이유를 인의(仁義) 의 실천을 위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바로 이 대목에서 공자가 춘추를 완성하 자 나라를 어지럽히는 무리들은 두려워 하였다(孔子成春秋而亂臣賊子懼) 라는 구 절이 나온다.

 

후한서 <동탁전董卓傳>에도 너희들은 반역하여 천자를 핍박하 니, 역적들중에도 이제껏 너희같은 자들은 없었다(亂臣賊子未有如汝者) 이라는 구 절이 보인다. 亂臣賊子 란 임금을 죽이는 신하와 어버이를 죽이는 아들 또는 나라를 어 지럽히는 무리나 역적 등의 뜻이다. 옛날 영국에서는 국사범들을 런던탑(the Tower of Londen)에 감금하였는데, 이 탑의 Thames강 쪽의 문을 the Traitor's Gate 라 하였다. 이는 곧 亂臣賊子之門 이다.

 

우리 역사에서도 많은 亂臣賊子 들이 탄생과 함께 이슬로 사라져 갔지만, 여전 히 기억속에 살아있는 난신(亂臣) 의 탄생은 불과 18년전인 1979년 10월 26월 에 있었다. 하지만 한 시기에 亂臣 과 賊子 의 출현을 모두 보게 될지도 모른 다는 예감에 마음이 더욱 무거워진다.

■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

 

오늘의 한자성어는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의미있고 뜻 있는 사자성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

 

啐啄同時(줄탁동시)

 

줄(啐)과 탁(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 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으로, 가장 이상적인 사제지간을 비유하거나, 서로 합심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알 속에서 자란 병아리가 때가 되면 알 밖으로 나오기 위해 부리로 껍데기 안쪽을 쪼는데 이를 ‘줄’이라 하며, 어미 닭이 병아리 소리를 듣고 알을 쪼아 새끼가 알을 깨는 행위를 도와주는 것을 ‘탁’이라고 한다. 병아리는 깨달음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수행자요, 어미 닭은 수행자에게 깨우침의 방법을 일러 주는 스승으로 비유할 수 있다.

 

안과 밖에서 쪼는 행위는 동시에 일어나야 하는데, 스승이 제자를 깨우쳐 주는 것도 이와 같아, 제자는 안에서 수양을 통해 쪼아 나오고 스승은 제자를 잘 보살피고 관찰하다가 시기가 무르익었을 때 깨우침의 길을 열어 주어야 하는데, 이 시점이 일치해야 비로소 진정한 깨달음이 일어난다.

 

원래 민간에서 쓰던 말인데 송(宋)나라 때 《벽암록(碧巖錄)》에 공안(公案, 화두(話頭))으로 등장하면서 불가(佛家)의 중요한 공안이 되었다.

 

 

他山之石(타산지석)

 

사자성어 뜻 그대로를 풀이하면 남의 산의 돌이란 뜻이다. 다른 산의 돌을 자기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남의 말이나 행동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타산지석 가이위착(他山之石可以爲錯)’과 ‘타산지석 가이공옥(他山之石可以攻玉)’에서 ‘타산지석’이 유래했는데, ‘돌’을 소인에 비유하고 ‘옥’을 군자에 비유하여 군자도 소인에 의해 수양과 학덕을 쌓아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破釜沈舟(파부침주)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 살아 돌아갈 기약을 하지 않고 죽을 각오로 싸우겠다는 굳은 결의를 비유하는 말이다. 즉 배수의 진을 치는 것을 말한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데, 항우가 군사를 이끌고 황하를 건너 배를 모두 가라앉히고 솥과 시루를 깨뜨린 데서 유래하여 ‘파부침주’는 죽을 각오를 하고 싸우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파부침선(破釜沉船)’, 혹은 식량을 버리고 배를 가라앉혔다는 뜻의 ‘기량침선(棄糧沉船)’이라고도 한다.

■ 인간관계 사자성어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상대방을 존중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사람의 됨됨이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인간관계 사자성어에서도 이를 경계하는 말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볼 인간관계 사자성어 백안시(白眼視)와 출이반이(出爾反爾)도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 

 

 ■ 인간관계 사자성어 백안시(白眼視) 뜻과 유래

 

▶백안시(白眼視) 뜻

백안시(白眼視) 白 : 흰 백, 眼 : 눈 안, 視 : 볼 시

 

'눈을 하얗게 뜨고 바라보다'는 뜻으로. 사람을 흘겨보거나 냉정한 눈길로 대하며 무시하는 것을 말한다. 

 

백안시(白眼視)는 눈을 흘겨 노려보다 즉 흰 눈동자로 흘겨봄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남을 업신여기거나 홀대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중국 晉(진)나라의 阮籍(완적)이 친한 사람은 靑眼(청안)으로, 거만한 사람은 白眼(백안)으로 대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했다.

 

백안시(白眼視)의 유래

 

「완적은 예교에 얽매이지 않았고, (눈동자를 굴려) 흰자위를 드러나게 하거나 호의의 눈빛을 보이게 할 수 있었다. 세속의 예의범절에 얽매인 선비를 보면 흰자위를 드러내 흘겨보며 대했다. 어느 날 혜희가 찾아오자 완적은 눈의 흰자위를 드러냈다. 혜희는 기분이 상해 돌아가고 말았다. 혜희의 동생 혜강이 이 소식을 듣고 술을 들고 거문고를 끼고 찾아왔다. 완적은 크게 기뻐하며 검은 눈동자(호의의 눈빛)로 대했다. 이로부터 예법을 중시하는 선비들은 그를 원수 대하듯이 미워했다.

 

이 이야기는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 나오는데, 완적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이 찾아오면 흰자위를 드러내었다는 말에서 ‘백안’이 유래했다. 백안(白眼)은 흰자위를 드러내고 흘겨보는 것을 말하고, 청안(靑眼)은 검은 눈동자를 가운데로 오게 하여 정상적으로 눈을 뜨고 보는 것으로 호의의 눈빛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 인간관계 사자성어 출이반이(出爾反爾) 뜻과 유래

 

출이반이(出爾反爾) 뜻

출이반이(出爾反爾) 出 : 날 출, 爾 : 너 이, 反 : 되돌릴 반, 爾 : 너 이

 

'자기에게서 나온 것이 자신에게로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앙경화복(殃慶禍福)이 모두 자기 자신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을 가진 맹자와 증자의 대화에서 나온 고사성어다.

 

자신에게서 나온 것이 자신에게 되돌아온다는 것으로, 화나 복이 모두 자신으로부터 나온다는 말이다. 즉 인간관계에서 자신의 수양과 됨됨이를 먼저 확인하라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다.

 

출이반이(出爾反爾)의 유래

 

이 이야기는 《맹자(孟子) 〈양혜왕 하(梁惠王下)〉》에 나온다. 맹자는 증자의 말을 인용하여 자기가 뿌린 씨는 자기가 거두는 것이 세상사의 이치라는 것을 설명하면서 목공에게 백성들의 불충을 탓하기 전에 먼저 어진 정치를 베풀어 백성들을 감화시킬 것을 권고하였는데, 여기에서 ‘출이반이’가 유래했다.

 

맹자는 증자의 '출호이반호이(出乎爾反乎爾)'를 인용하여 자기가 뿌린 씨는 자기가 거두는 것이 세상사의 이치임을 말하면서, 목공에게 백성들의 불충을 탓하기 전에 먼저 어진 정치를 베풀어 덕으로써 백성들을 감화시킬 것을 권고하였는데 여기서 유래햇따. 이 말은 '출이반이(出爾反爾)', '출호이자반호이(出乎爾者反乎爾)'라고도 한다.

 

■ 출이반이(出爾反爾)와 유사어

 

인과응보(因果應報) : 좋은 일에는 좋은 결과가, 나쁜 일에는 나쁜 결과가 따름다는 뜻을 가진 고사성어

자업자득(自業自得)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는다.

종두득두(種豆得豆):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이다.

종과득과(種瓜得瓜): 오이를 심으면 반드시 오이가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김을 이르는 말이다.

종맥득맥(種麥得麥): 보리를 심으면 보리를 얻는다는 뜻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