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가되면 언제나 잊어버리는 '지방쓰는법' 이번에 확실하게 알아두세요. '지방쓰는법'을 알아보고 응용편으로 '아버지 제사 지방쓰는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이란?

 

예전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 즉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면서 가정에 사당도 없고 조상의 위패도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이유로 제사나 차례 등을 지낼 때 종이에 글을 적어 임시로 위패를 대신 삼는 것이 지방이 되었다. 즉 지방이란 조상의 위패를 대신하는 하얀 종이를 의미한다.

 

지방의 규격과 기본 예절

 

지방 쓰는 법

 

조상의 위패를 대신하는 것이기에 최소한의 예절을 갖춰어야 한다. 지방은 한지를 사용한다. 한지가 없거나 여의치 않을 경우 깨끗한 창호지나 백지로도 가능하다.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이며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접거나 잘라 각지지 않게 한다. 가급적 지방의 상단은 둥글게 하고 아래를 평평하게 한다.

 

지방의 글씨는 붓(펜)으로 쓴다. 한자로 쓰는 것이 예절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 남자 조상의 경우 왼쪽, 여자 조상의 경우 오른쪽에 위치한다.

 

지방쓰는법 한자의 의미

 

 

지방에 쓰이는 한자는 고인과 제주의 관계, 고인의 이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자리의 순서로 쓴다. 지방에 쓰이는 한자와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고인과 제주의 관계 :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를 사용한다. 조부모일 경우 '조고(祖考)'와 '조비(祖妣)'가 된다.

2.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앞에는 '현(顯)'을 써서 존경의 의미를 나타낸다.

3. 고인의 직위 : 조상이 벼슬을 한 경우에는 벼슬의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직급에 따라 정경부인, 숙부인 등의 호칭을 쓴다. 과거를 준비하거나 벼슬을 하지 않았을 경우 '학생(學生)'이라 쓰고, 그 부인은 '유인(孺人)'이라 썼다. 현대에는 특별한 변형없이 고인이 남성이라면 모두 '학생(學生)'으로 적는다.

4. 고인의 이름 : 남자 조상의 경우 모두 '부군(府君)'이라고 쓰며, 여자 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예 : 전주 이씨)를 쓴다. 만일 제사 대상이 동생과 같이 아랫사람일 경우 이름을 적는다.

5. 여기까지 작성한 후 마지막에 조상의 자리를 의미하는  '신위(神位)'를 적는다.

 

아버지, 어머니 제사 지방쓰는법

지금까지 알아본 내용을 바탕을 '아버지와 어머니 제사 지방쓰는법'을 확인하겠습니다.

 

고인이 제주(祭主,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아버지일 경우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顯(현)은 존경의 의미로 맨 먼저 쓴다. 考(고)는 아버지라는 뜻으로 제주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엔 고인의 직위를 적는데, 고인이 남성이라면 學生(학생)으로 통일해 적는다. 이어 府君(부군)은 고인의 이름 대신 적는 것으로, 고인이 제주보다 윗사람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에 쓰인 神位(신위)는 고인의 자리라는 의미다.

 

어머니 제사 지방쓰는법

 

고인이 제주의 어머니일 경우엔 '顯妣孺人+본관+성씨+神位'라 적는다. 顯(현)은 존경의 의미이며, 妣(비)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뜻한다. 고인의 직위는 여성일 경우 孺人(유인)으로 통일해 적는다. 이어 고인의 이름에는 어머니의 본관과 성씨를 적고 마지막에 神位(신위)를 적는다. 어머니의 성이 전주 이씨(全州 李氏)라면 예시 그림처럼 '顯妣孺人全州李氏神位(현비유인전주이씨신위)'가 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