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내는 순서와 방법

 

일년에 몇 번 정도 제사에 참석하시나요? 제사와 명절 차례까지 합친다면 최소한 2번 이상의 참석하실거라 예상합니다. 그러나 때가 되면 스마트 폰으로 제사 지내는 순서와 방법 심지어 제사상차림까지 신속하게 알아보고 참석하는 것이 보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제사의 유래와 의미를 조금은 길게 정리했습니다. 바쁘신 분들은 포스팅 중간에 있는 제사지내는 순서와 방법을 먼저 확인하세요.

 

과거와 달리 간소화되고 관심도 조금은 낮아지고 있지만 한 가지 변하지 않는 것은 부모님과 조상님을 추모하는 근본 정신은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제사에 대해 간략하고 깨알 상식 짚어보고 제사 지내는 순서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제사의 유래와 의미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몸과 마음을 닦고 집을 안정시킨 후 나라를 다스리며 천하를 평정한다는 선비사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중 가장 중요한 덕목은 '수신제가'입니다. 제사도 이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제사는 과거 가부장적 유교사회에서 절대적인 권력과 가문을 유지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제도였습니다.

 

가부장 사회와 절대적 권력의 통치수단으로써 제사

 

나라의 가부장인 왕 절대 권력을 가진 왕은 자신의 왕권과 초월적 힘의 상징이 제사였습니다. 조선의 왕은 권력의 원천은 조상에서 나왔고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성대하게 종묘에서 제사를 지냈습니다. 역대 왕에게 지내는 제사, 특히 제사를 주도하는 제주(왕)는 권력과 초월적 권위의 정당성을 부여하였습니다. 이 권위와 권력은 백성들과 가문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가부장 사회 유지와 통치수단이었습니다.

 

제사의 종교적 의미

 

종교는 다양한 성격과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후세계만 놓고 이야기합니다.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제사는 사후세계를 의미합니다. 인간은 누구나 죽고 이 사실을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즉 영생과 불멸이 종교 탄생의 한 부분이란 것입니다. 기독교와 불교에서는 사후세계를 인정하고 육체만 사라질뿐 영혼은 사후에도 그대로 존재하며 이승에서 삶과 후손들의 염원은 고인과 자손들의 공덕과 관련 있다고 믿습니다. 사십구재(49재)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러나 유교에서는 이와 같은 사후세계를 인정하지 않고 죽은 후 흙으로 돌아가고 영혼은 공중에서 사라집니다. 유교 사상도 자신은 죽었지만 계속 존재하고 싶은 간절한 욕망이 아들을 통한 간접 영생을 택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아들, 아들 하면서 가문을 계속 이어가기를 바랬던 것입니다. 최소한 아들은 일년에 몇 차례는 제사를 지내며 부모를 기억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아들도 후손에 의해 기억될 것입니다. 이렇게 자신을 기억하게 될 것을 확신하고 자신의 사후에도 이 세상과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앞으로의 제사는 어떻게 될까요?

 

실제 우리가 아는 제사는 상당한 인플레이션이 있었습니다. 현재 제사는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4대봉사, 고조할아버지까지 지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주자학에 어긋나는 것입니다. 제사를 지낼 수 있는 사람은 3품 정도의 높은 벼슬을 지낸 사람으로 제한하였습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사람은 부모님 제사만 지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의 신분상승 욕구로 즉 양반이 되고 싶었던 것입니다. 이것이 현대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 알려진 제사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제사의 중요성과 관심도 멀어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일부 가정에서는 4대 봉사를 모아어 특정한 날을 정해 1번에 지내기도 합니다. 현재는 일부지만 앞으로는 아마 더 증가할 것이고 결국에는 부모님 제사만 지내는 풍습으로 바뀌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봅니다.

 

 

제사 지내는 순서와 방법

 

명절(설, 추석)에 지내는 차레와 달리 제사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치르는 관례입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기제사이지만 제사로 줄여부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즉 기제사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것입니다. 제사를 지내는 순서와 방법은 집안마다 다르기 때문에 분명치 않다면 집안 어른에게 물어 가풍을 따르는 것이 좋습니다.

 

아침 일찍 지내는 차례와 달리 제사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의 첫 새벽(0:00 전후)에 지내는 것이 우리 고유의 전통입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다음날의 일(출근, 등교 등)로 참석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른 저녁시간 또는 늦은 저녁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제주라고 한다. 제주를 돕는 사람을 집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제사 지내는 순서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때에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초헌 :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 초헌, 아현, 종헌 : 제사에서는 술을 3번 올리는데 이를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이라고 합니다.

 

4. 독축 : 모두 꿇어 않고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 읽으면 모두 두 번 절한다.

5. 아헌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혹은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초헌과 같다.


6.종헌 : 세 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아헌과 같은데,술을 7부로 따라서, 첨잔을 할 수 있도록 한다.


7.유식 :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한다.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다. 젓가락을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는다. 이를 삽시정저(揷匙定箸)라고 한다. 제주가 두 번, 부인이 네 번 절한다.


8.합문 :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다. 어쩔 수 없는 경우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9.헌다 :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린

다.

 

10. 사신 :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는다. 일동 두 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11. 철상 : 제사 음식을 물린다. 뒤에서부터 차례로 한다.

12. 음복 : 제수를 나누어 먹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