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쉬운 사자성어 고사성어

 

▶ 쉬운 사자성어

 

사자성어와 고사성어의 차이는 뜻 그대로 읽느냐, 아니면 뜻과 관련된 이야기가 있느냐에 따라 사자성어와 고사성어라 한다. 사자성어는 고사성어를 포함하는 큰 범위이며 고사성어는 뜻과 관련된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 것이다. 이 부분이 헷갈린다면 사자성어로 통일해도 무관하다.

 

 

▶ 호가호위(狐假虎威) 狐(여우 호) 假(빌릴 가) 虎(범 호) 威(위엄 위)

여우 뒤엔 호랑이가 있었다

 

전국책戰國策 <초책楚策>에는 기원전 4세기 초, 중국의 전국시대 초나라의 선왕(宣王)이 위(魏)나라 출신의 신하인 강을(江乙)에게 북방 강대국들이 초나라 재상(宰相) 소해휼(昭奚恤)을 두려워 하는 이유를 묻는 대목이 실려 있다. 강을은 여우와 호랑이의 고사 를 인용하여 그 이유를 설명하였다.

 

즉, 짐승들 이 두려워 한 것은 여우가 아니라 그의 뒤에 있던 호랑이였다는 것이다. 이는 북 방의 여러 나라들이 두려워 하는 것이 재상 소해휼이 아니라 그 배후에 있는 선 왕의 강병(强兵)임을 비유한 것이었다. 이렇듯 狐假虎威 란 아무 실력도 없으면서 다른 사람의 권세나 배경을 빌어 위세 부리는 사람 을 비유한 말이다.

 

狐假虎威 를 일러 영어로는 an ass in the lion's skin(사자의 탈을 쓴 나귀) 이라고 하였던가. 하지만 죽은 사자의 탈을 쓴 나귀보다는 살아있는 호랑이를 꼬여 뭇 짐승들을 속인 여우쪽이 훨씬 교활하고 가증스럽다. 여우 같은 사람과 여우의 잔꾀에 속아 넘어간 눈먼 호랑이 때문에 지금 우리 사회는 전에 없이 뒤숭숭한 것이다.

 

▶ 烏鳥私情(오조사정) 烏(까마귀 오) 鳥(새 조) 私(사사 사) 情(뜻 정)

할머니를 모시는 손자의 효심

 

진(晋)나라 사람 이밀(李密)이 쓴 <진정표陳情表>에는 다음과 같은 글귀가 실 려있다. 이 글은 조모 유씨의 병세가 위독하여 이밀이 부득이 관직을 사양하게 됨을 황제께 고하는 글이다. 저는 조모가 안계셨더라면 오늘에 이를 수 없었을 것이며, 조모께서는 제가 없 으면 여생을 마칠 수 없을 것입니다. 저는 금년 44세이고, 조모 유씨는 96세이니, 제가 폐하게 충성을 다할 날은 길고 조모 유씨에게 은혜를 보답할 날은 짧습니다.

 

까마귀가 어미새의 은혜에 보답하려는 마음으로 조모가 돌아가시는 날 까지 만 봉양하게 해 주십시오(烏鳥私情, 願乞終養). 이밀은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 하씨가 개가하자, 할머니의 손에서 자랐으 며, 효심이 두터워서 할머니의 병 간호를 하고자 황제가 내린 관직을 물리쳤다. 烏鳥私情 이란 까마귀가 자라면 그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먹이듯 그처럼 부 모를 모시는 지극한 효심 을 이르는 말이다.

 

옛부터 제갈량의 <출사표出師表>를 읽지 않으면 충신이 아니고, 이밀의 <陳情表>를 읽지 않으면 효자가 아니라고 하였다. 손자의 카네이션 한 송이가 돋보이는 특별한 어버이날이 되었으면 좋겠다.

 

▶ 西施 目(서시빈목) 西(서녘 서) 施(베풀 시) (찡그릴 빈) 目(눈 목)

숭어가 뛰니까 망둥이도 뛴다?

 

莊子 <천운편天運篇>에는 춘추시대 월(越)나라의 미인인 서시(西施)의 이야 기가 나온다. 줄거리는 대략 이러하다. 서시가 가슴을 앓아 눈을 찡그리고 있으 니, 그 마을의 다른 추녀(醜女)가 이를 보고 아름답다고 여기고, 집으로 돌아와서 역시 가슴에 손을 얹고 눈을 찡그렸다(西施病心而 , 其里之醜人, 見而美之, 歸亦捧心而 ). 그 결과 어떤 이는 문을 닫고 밖으로 나오지 않았고, 어떤 이들은 아 예 그 마을을 떠나버렸다.

 

이 이야기는 공자의 제자인 안연과 악관(樂官)인 金 이라는 사람이 나누는 대 화중에 나온다. 장자는 당시 주(周)왕조에서 이상정치를 재현하려는 것을 서시의 찌푸림을 본받는 추녀의 행동같은 것으로서 사람들의 놀림받는 쓸데 없는 짓이라 여겼던 것이다.

 

西施 目(서시가 눈을 찡그리다) 이란 아무런 비판 없이 남을 흉내 내는 것 을 비유한 것이며, 효빈(效 :눈쌀 찌푸림을 흉내내다) 이라고도 한다. 맹신(盲信)과 맹목적 추종은 그 추녀다운 사고 방식이다. 중요한 것은 유행에 민감해지 는 것이 아니라 타당한 주관(主觀)과 합리적 비판에 더욱 강해지는 것이다.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苛(매울 가) 政(정사 정) 猛(사나울 맹) 於(어조사 어) 虎(범 호)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것

 

예기(禮記) 단궁편檀弓篇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실려있다.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태산 기슭을 지나고 있는데, 한 부인이 무덥 앞에서 울며 슬퍼하고 있었다. 공자는 제자인 자로에게 그 까닭을 묻게 하였다. 그 부인은 대답하길 오래전에 시아버님이 호랑이게 죽음을 당하였고, 저의 남편 또한 호랑이에게 변을 당하였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저의 아들마저 호랑이게 목숨을 잃게 되었답니다. 라고 하였다. 그곳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를 묻는 말에 그 부인은 가혹한 정치가 없기 때문입니다(無苛政). 라고 짧게 대답하였다.

 

자로의 말을 듣은 공자는 제자들에게 잘 알아두어라.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서운 것이다(苛政猛於虎也). 라고 하였다. 춘추 말엽 노(魯)나라의 대부 계손자(系孫子)의 폭정으로 고통받던 백성들은 차 라리 호랑이에게 물려죽는 쪽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苛政 이란 번거롭고 잔혹 한 정치 를 뜻한다. 政 을 徵(징) 의 차용으로 보아 번거롭고 무서운 세금과 노역 의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잔혹한 정치, 무거운 세금이나 노역은, 결국 예나 지금이나 백성들에게는 호랑이보다 무서운 것들이다.

 

 

■ 좋은 한자성어 모음

 

▶ 오늘의 한자성어

 

오늘의 한자성어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좋은 한자성어 모음입니다.

 

 

▶ 신출귀몰(神出鬼沒) 神(귀신 신) 出(날 출) 鬼(귀신 귀) 沒(없어질 몰)

동에 번쩍, 서에 캄캄

 

회남자淮南子 <병략훈兵略訓>에는 교묘한 자의 움직임은 신이 나타나고 귀신이 걸어가는 듯하며(神出而鬼行), 별이 빛나고 하늘이 운행하는 것 같아, 진 퇴 굴신의 조짐도 나타나지 않고 한계도 없어, 난조(鸞鳥:전설 속의 새이름)가 일 어나듯, 기린이 떨치고 일나는 듯, 봉황새가 날 듯, 용이 오르듯, 추풍과 같이 출 발하여 놀란 용과 같이 빠르다. 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서 는 적으로 하여금 어떠한 정보도 얻지 못하도록 철저한 보안 유지나 위장이 필요 하다는 뜻이다. 神出鬼沒 이란 바로 神出而鬼行 이라는 구절에서 연유된 말이다. 아무도 모르게 귀신처럼 나타났다 사라진다는 뜻이며, 행동이 신속하고 그 변화가 심하여 헤 아릴 수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옛날 동에 번쩍, 서에 번쩍 神出鬼沒 했던 홍길동의 출생지를 놓고 요즈음 관 련 지방 자치단체들의 논쟁이 매우 진지하다. 실제로 존재했던 인물일 것이라는 사실도 흥미롭거니와, 귀신 같은 양반을 서로 모시겠다고 열을 올리는 후손들의 길동 할아버지 에 대한 존경심은 시대적 해결사의 출현 을 고대하는 우리들의 속마음이 드러난 것이리라.

 

▶ 정중지와(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 蛙(개구리 와)

개구리는 짠물에서 못 산다, 우물안 개구리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황하의 신(神) 하백(河伯)은 가을 홍수로 황하의 물이 불어나자 기뻐하며 천하 의 훌륭함이 모두 자기에게 모여있다고 생각하였다. 물을 따라 동해의 북쪽 바다 에 이르자 하백은 바다의 위세에 눌려 한숨을 지었다. 그러자 북해의 신(神)인 약(若) 은, 우물 속의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 말해도 소용없는 것은 그가 좁은 곳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오(井蛙不可以語於虛也, 拘於虛也). 지금 당신은 대해를 보고 비로소 자신의 꼴불견을 깨달았으니, 이제는 대도의 이치를 말할 수 있을 것이오. 라고 하였다.

 

井中之蛙 란 우물 안의 개구리, 즉 생각이나 식견이 좁은 사람이나 세상 물정 을 모르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井蛙不知大海 라거나 井底蛙 라는 표현도 모 두 같은 의미이다. 얼마전 까지만해도 Globalization 인지 세계화 인지를 외치며 우물 안의 개 구리 소탕을 선도했던 사람을 요즘 들어선 보기 어렵다. 뜬금없이 우물 밖으로 나가라 하니, 영어 과외가 급증하지 않고 국제 공항이 붐비지 않고서야, 달리 무 슨 방법이 있겠는가.

 

▶ 조장(助長) 助(도울 조) 長(길 장)

스스로 하도록 도와주는 것

 

孟子 <공손추公孫丑>상편에는 공손추와 맹자의 문답이 실려 있다. 맹자는 호연지기(浩然之氣) 를 설명하고 나서, 순리(順理)와 의기(義氣)의 중요성을 강조 하기 위하여 송(宋)나라의 한 농부의 조급한 행동을 예로 들었다. 그 농부는 자기 가 심은 곡식 싹이 자라지 않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그 싹들은 뽑아 올렸으나, 그 싹들은 모두 말라 죽고 말았다는 것이다.

 

무리해서라도 잘 되게 하려고 했던 농부의 행동은 오히려 무익(無益)의 정도를 넘어서 해악(害惡)이 되었던 것이다. 助長 이라는 말은 문자적으로 도와서 성장시키다 라는 좋은 뜻을 가지고 있 는 것 같지만, 사실은 쓸데없는 일을 해서 일을 모두 망쳐버리다 라는 부정적 의미가 훨씬 강하다.

 

싹과 같은 우리의 아이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그리고 과외 학원을 전전하며 뿌 리가 흔들리도록 助長 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맹자는 아이들을 가르침에 마음 을 망령되이 갖지 말며(心勿忘), 무리하여 잘 되게 하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勿助長也) 고 우리 어른들에게 가르치고 있다. 어린이날 하루 만이라도 마음껏 놀도록 아이들을 助長 해 보았으면.

 

▶ 도룡지기(屠龍之技) 屠(잡을 도) 龍(용 룡) 之(갈 지) 技(재주 기)

용의 눈물, 여기에서 그치다

 

장자莊子 <열어구편列禦寇篇>에는 다음과 같은 고사가 실려있다. 장자는 주팽만은 용을 죽이는 방법을 지리익에게서 배우는데, 천금이나 되는 가산(家産)을 탕진하고 삼 년만에야 그 재주를 이루었지만 그것을 써먹을 곳이 없었다(朱 漫學屠龍於支離益, 單千金之家, 三年成技, 而無所用其巧).

 

성인은 필연 적인 일에 임할 때에도 필연으로 여기지 않으므로 마음속에 다툼이 없지만 범속 한 사람들은 이와 반대로 마음속에 다툼이 많다. 라고 말하며, 소인들은 사소로운 일에 얽매여 대도(大道)를 이룰 수 없음을 지적하였다.

 

屠龍之技 란, 곧 많은 돈과 세월을 투자하여 배웠으나 세상에서 써먹을 데가 없는 재주를 말한다. 본시 龍 이란 상상 속의 동물일뿐이니, 주팽만이 고생 끝에 배운 기술은 결국 아무런 쓸모가 없었다는 것이다. 九龍 이다 二龍 이다 해서 먼저 승천(昇天)하려고 다투는 용들이 유독 많은 것도 요즈음 들어 볼 수 있는 광경이다.

 

그들은 모두 승천하는 기술과 용 잡는 기술을 연마하는데 온 정신을 쏟고 있다. 주팽만의 屠龍之技 가 진가를 발휘하 여, 용의 눈물이 그칠 때가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

 

평소에 자주 사용해 뜻을 알뜻 말뜻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룰 자주쓰는 사자성어 모음은 온고지신(溫故知新), 후안무치(厚顔無恥), 난신적자(亂臣賊子)입니다.

 

온고지신과 후안무치는 자주쓰는 사자성어지만 난신적자는 다소 생소하시죠. 그러나 '무자식이 상팔자'라면 너무 많이 듣는 어구죠. 난신적자의 뜻입니다.

 

 

▶ 온고지신(溫故知新) : 溫(익힐 온) 故(옛 고) 知(알 지) 新(새 신)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통하여 새것을 앎

 

논어論語 <위정爲政>편에서 공자는 옛 것을 익히어 새로운 것을 알게 되 면 스승 노릇을 할 수 있다(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라고 하였다. 이는 과거와 현 재, 그리고 미래로 이어지는 인과(因果) 관계 속에서 발전의 원리를 깨달아야 함을 말한 것이다.

 

옛 것과 새로운 것의 관계에 대한 이분법적 시각은 대립과 단절만을 만들어낸다. 구세대와 신세대, 여기에 쉰 세대와 낀 세대, X세대와 Z세대라는 표현들은 모 두 지혜롭지 못한 생각에서 나온 말들이다. 올챙이를 한자로 과두( ) 라고 하 고, 올챙이 적을 가리켜 과두시절( 時節) 이라 한다.

 

올챙이 없는 개구리, 개 구리 없는 올챙이는 존재할 수 없다. 선인들의 지혜가 응축되어 있는 고사성어(故事成語)야말로 현대를 사는 우리들 에게 반성과 발전의 실마리를 제시해 주는 가장 적절한 溫故知新 의 도구이다.

 

현대 중국어에서도 우리말의 복습(復習) 을 온습(溫習) 이라 표현하고 있으니, 이는 배운 것을 익히고 또 익혀 늘 가슴 속에 간직한다는 의미이다. 새로이 고 사성어(故事成語) 란을 집필함에 있어, 짧지만 깊은 옛 사람들의 지혜를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마음 간절하다.

 

▶ 후안무치(厚顔無恥) 厚(투터울 후) 顔(얼굴 안) 無(없을 무) 恥(부끄러워할 치)

두꺼운 얼굴에 부끄럼은 없다

 

옛날 중국의 하나라 계(啓) 임금의 아들인 태강은 정치를 돌보지 않고 사냥만 하다가 끝내 나라를 빼앗기고 쫓겨 난다. 이에 그의 다섯 형제들은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며 번갈아가면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들의 노래는 모두 書經 의 <五子之歌>편에 수록되어 있는데, 그중 막내가 불렀다고 하는 노래에는 이러한 대목이 보인다. 만백성들은 우리를 원수라 하니, 우린 장차 누굴 의지할꼬. 답답하고 섧도다, 이 마음, 낯이 뜨거워지고 부끄러워지누나.

 

 萬姓仇予, 予將疇依. 鬱陶乎予心, 顔厚有 . 厚顔 이란 두꺼운 낯가죽 을 뜻하는데, 여기에 무치(無恥) 를 더하여 후안 무치(厚顔無恥) 라는 말로 자주 쓰인다. 이는 낯가죽이 두꺼워서 부끄러운 줄을 모르는 사람 을 가리킨다. 지난 주 동안, 한보청문회에 모습을 드러낸 증인들 중 에는 후안(厚顔) 을 무기로 나온 이들이 많았다. 부끄럽게 생각합니다. 라고 말하면서도 그들의 얼굴에는 수치(羞恥)의 기색은 조금도 없었다. 만백성들은 지 금 그들이 태강의 동생들이 불렀다는 이 노래를 한번만이라도 읊조려 주기를 기 대하고 있다.

 

▶ 난신적자(亂臣賊子) 亂(어지럽힐 란) 臣(신하 신) 賊(해칠 적) 子(아들 자)

무자식이 상팔자

 

孟子 <등문공 文公>하편에는 맹자의 제자인 공도자가 제기한 논쟁에 관한 맹자의 답변이 실려 있다. 맹자는 자신이 논쟁을 피하지 않는 이유를 인의(仁義) 의 실천을 위한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바로 이 대목에서 공자가 춘추를 완성하 자 나라를 어지럽히는 무리들은 두려워 하였다(孔子成春秋而亂臣賊子懼) 라는 구 절이 나온다.

 

후한서 <동탁전董卓傳>에도 너희들은 반역하여 천자를 핍박하 니, 역적들중에도 이제껏 너희같은 자들은 없었다(亂臣賊子未有如汝者) 이라는 구 절이 보인다. 亂臣賊子 란 임금을 죽이는 신하와 어버이를 죽이는 아들 또는 나라를 어 지럽히는 무리나 역적 등의 뜻이다. 옛날 영국에서는 국사범들을 런던탑(the Tower of Londen)에 감금하였는데, 이 탑의 Thames강 쪽의 문을 the Traitor's Gate 라 하였다. 이는 곧 亂臣賊子之門 이다.

 

우리 역사에서도 많은 亂臣賊子 들이 탄생과 함께 이슬로 사라져 갔지만, 여전 히 기억속에 살아있는 난신(亂臣) 의 탄생은 불과 18년전인 1979년 10월 26월 에 있었다. 하지만 한 시기에 亂臣 과 賊子 의 출현을 모두 보게 될지도 모른 다는 예감에 마음이 더욱 무거워진다.

■ 인생 교훈이 되는 글

 

인생 교훈이 되는 글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짧지만 강한 임팩트를 지는 영어와 번역을 함께 소개합니다. 인생 교훈이 되는 글 시작합니다.

 

 

▶ 인생 교훈이 되는 글

 

Help somebody achieve their dream it will come full circle.

꿈을 이루도록 도와주면 한 밥솥이 된다.

 

그냥 성공하도록 기다리거나, 기다려 주는 것은 잘못된 심보다.

 

Unmistakeable.

오해의 여지를 만들지 마라.

 

완벽, 그것은 환상이다. 그런 것은 시중에 없다. 누구도 결함이 있다. 남들이 입 맞추어주고, 가늠해 주기 전에 떠벌리지 말고, 그렇다고 너무 지나치게 자신을 의식하는 것도 못난 짓이다.

 

Comparison is a vicious trap. Appreciate what you have.

남과의 비교는 악순환의 덫이다. 조그만 것이라도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하고 그리고 더 앞으로 나아가라.

 

늘 앞 서가는 사람도 있고 뒤쳐지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고 너무 앞을 멀리 보아서도 안 되고 너무 뒤를 멀리 보아서는 안 된다. 비교에 덫에 걸리지 마라. 삶이 낱낱이 공개된다면 비교가 쉽겠지만, 사람들은 흔히 포장지를 비교한다. 자신의 삶이 아닌 다른 사람의 삶을 갈구한다면 불행한 일이다. 다른 사람의 삶 중에 기막히고 좋은 부분만 취하라. 페이스북 사진 앨범 속의 사람들 각기 나름대로 마음의 갈등이 있다.

 

Inspiring

매일 영감을 주는 책을 읽어라.

 

AJ Leon의 Life and Times of a Remarkable Misfit부터 읽어 보라. AJ Leon은 비영리단체 Shakespeare Birthplace Trust의 청중개발 및 콘텐츠 제작 고문이자 스스로를 Misfit Inc의 CEO & Creative Director이면서도 사고뭉치임원이라 부르며, 기업을 파이 그래프가 아닌 시로 풀이하는 괴짜다. 맨하튼에 거주하지만 5년 가까이 랩탑을 들고 전세계를 누비며 일하고 강연하는 노마드다.

 

Say what you need to say.

하고 싶은 말을 하라.

 

마음 속에 가두기만 고집한다면 심장마비가 올 것이다.

 

■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

 

개인마다 생각하는 뜻이 좋은 고사성어가 존재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 중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을 적고자 한다. 사실 고사성어는 감동뿐만 아니라 삶의 지혜와 철학이 묻어 있다. 이 중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 몇 가지를 소개한다.

 

▶ 뜻이 좋은 고사성어 모음

 

敎學相長(교학상장)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한다. 스승은 학생에게 가르침으로써, 그리고 제자는 배움으로써 진보한다는 말이다. 「좋은 요리가 있다고 하더라도 먹어 보지 않으면 그 맛을 알 수 없다. 지극히 심오한 진리가 있다고 해도 배우지 않으면 그것이 왜 좋은지 알 수가 없다.

 

따라서 배워 본 후에야 자기의 부족함을 알 수 있으며, 가르쳐 본 후에야 비로소 어려움을 알게 된다. 부족함을 안 후에야 스스로 반성하게 되고, 어려움을 안 후에야 스스로 강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하는 것이다.

 

 

樹欲靜而風不止(수욕정이풍부지)

 

나무는 조용하고 싶지만 바람이 그치지 않는다. 효도를 다하지 못한 자식의 슬픔을 비유하는 말이다.

 

「공자(孔子)가 길을 가고 있는데 어디선가 몹시 슬피 우는 소리가 들렸다. 공자가 말했다. “말을 달려 가 보자. 앞에 현자가 있구나.” 울음소리를 따라가 보니, 고어(皐魚)가 베옷을 입고 낫을 껴안고 길가에서 울고 있었다. 공자가 수레에서 내려와 그 까닭을 물었다.

 

“상을 당한 것도 아닌데 어찌 그리 슬피 우는가?” 고어가 대답했다. “저에게는 세 가지 잃은 것이 있습니다. 어려서 공부를 하여 제후에게 유세하느라고 부모를 뒤로 했습니다. 이것이 잃은 첫 번째 것입니다. 내 뜻을 고상하게 하느라 임금을 섬기는 일을 등한히 했습니다.

 

이것이 잃은 두 번째 것입니다. 친구와 사이가 두터웠으나 젊어서 멀어졌습니다. 이것이 잃은 것의 세 번째입니다. 나무가 조용히 있고 싶어도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을 하려 하지만 부모는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한번 가면 쫓아갈 수 없는 것이 세월이요, 떠나가면 다시는 볼 수 없는 것이 부모님입니다. 이제 여기서 작별을 할까 합니다.”

 

그러고는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다. 공자가 말했다. “제자들이여, 이 말을 훈계로 삼아라. 명심할 만하지 않은가.” 제자 중에 고향으로 돌아가 부모를 봉양한 자가 열에 세 명이나 되었다.

 

曲學阿世(곡학아세)

 

배운 것을 구부려 세상에 아부하다. 학문을 올바르게 펴지 못하고 그것을 왜곡해 가며 세상에 아부하여 출세하려는 태도나 행동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 〈유림열전(儒林列傳)〉》에 나오는데, 원고생이 공손홍에게 충고한 말에서 학문을 굽혀 세상에 아첨한다는 뜻의 ‘곡학아세’가 유래했다.

 

狗猛酒酸(구맹주산)

 

개가 사나우면 술이 시어진다. 한 나라에 간신배가 있으면 어질고 선량한 선비가 이르지 않거나 떠나 버려 결국 나라가 쇠약해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간신배들의 농간에 현명한 선비가 등용되지 못하는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든 비유이다. 한비는 이 이야기 후에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라에도 개가 있어, 도를 갖춘 선비가 법술을 품고 만승의 군주에게 밝히고자 해도 대신이 사나운 개가 되어 물어뜯는다면 이는 군주의 가림막이 되어 도를 갖춘 선비가 쓰임을 받지 못하는 까닭이 되는 것이다.

 

한비자의 이 이야기에서 ‘구맹주산’이 유래하여 간신배가 있으면 선량한 선비들이 떠나게 되어 나라가 위태로워진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 뜻이 좋은 사자성어

 

뜻이 좋은 사자성어 중 자주 사용하지만 정확한 뜻을 몰라 가끔씩 난처한 경우가 생기죠. 자주 쓰는 사자성어를 몇 개 정리해보았습니다. 뜻이 좋은 사자성어이면서 자주 쓰는 사자성어입니다.

 

▶자주 쓰는 사자성어

 

화이부동(和而不同)과 부화뇌동(附和雷同)

 

화이부동은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는 않는다'라는 뜻이고 부화뇌동은 '우레 소리에 맞춰 함께하다.'라는 뜻이다. 즉 자신의 뚜렷한 소신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가는 것을 말한다.

 

「공자(孔子)가 말했다. “군자는 화합하지만 부화뇌동하지 않고, 소인은 부화뇌동하지만 화합하지 않는다.(子曰,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논어(論語) 〈자로(子路)〉》)

 

군자는 의를 숭상하고 남을 자기 자신처럼 생각하여 화합하지만, 소인은 이익을 따져 이해관계가 맞는 사람끼리 행동하므로 사람들과 화합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뇌동부화(雷同附和)’, ‘부부뇌동(附付雷同)’이라고도 한다.

 

溫故知新(온고지신)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다.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논어(論語) 〈위정(爲政)〉》)

‘온고(溫故)’는 옛것을 익힌다는 뜻이고, ‘지신(知新)’은 새것을 안다는 뜻이다.

 

 

 出必告反必面(출필고반필면)

 

나갈 때는 반드시 아뢰고, 돌아오면 반드시 얼굴을 뵌다. 외출할 때와 귀가했을 때 자식이 부모에게 지켜야 할 도리를 말한다.

 

口蜜腹劍(구밀복검)

 

입에는 꿀을 바르고 뱃속에는 칼을 품고 있다. 겉으로는 꿀맛같이 절친한 척하지만 내심으로는 음해할 생각을 하거나, 돌아서서 헐뜯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구밀복검’은 솜 속에 바늘을 숨기고 있다는 뜻의 ‘면리장침(綿裏藏針)’, 그리고 이의부(李義府)의 고사인 웃음 속에 칼을 숨기고 있다는 뜻의 ‘소리장도(笑裏藏刀)’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大器晩成(대기만성)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진다. 큰 인물이 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이 말은 《노자(老子)》 41장에 나온다. 여기에서 ‘만성(晩成)’이란 더디게 만들어져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말로, 거의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후대에 와서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후한서(後漢書) 〈마원전(馬援傳)〉》에도 ‘대기만성’에 관한 이야기가 나온다. 후한의 창업자 광무제(光武帝) 때의 명장 마원(馬援)은 변방의 관리로 출발하여 복파장군(伏波將軍, 한무제 이래 큰 공을 세운 장군에게 준 칭호)까지 된 인물이다.

 

마원이 처음 지방의 관리가 되어 부임을 앞두고 형 마황(馬況)을 찾아가자 형이 마원을 격려했다. “너는 큰 재목이라 더디게 이루어질 것이다. 솜씨 좋은 목수가(산에서 막 베어 낸 원목을) 남에게 보여 주지 않고 잘 다듬듯이, 너도 재능을 살려 노력해야 한다(汝大才, 當晩成. 良工不示人以朴, 且從所好).”

 

■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

 

오늘의 한자성어는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의미있고 뜻 있는 사자성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뜻 좋은 사자성어 모음

 

啐啄同時(줄탁동시)

 

줄(啐)과 탁(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병아리가 알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새끼와 어미 닭이 안팎에서 서로 쪼아야 한다는 뜻으로, 가장 이상적인 사제지간을 비유하거나, 서로 합심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알 속에서 자란 병아리가 때가 되면 알 밖으로 나오기 위해 부리로 껍데기 안쪽을 쪼는데 이를 ‘줄’이라 하며, 어미 닭이 병아리 소리를 듣고 알을 쪼아 새끼가 알을 깨는 행위를 도와주는 것을 ‘탁’이라고 한다. 병아리는 깨달음을 향하여 앞으로 나아가는 수행자요, 어미 닭은 수행자에게 깨우침의 방법을 일러 주는 스승으로 비유할 수 있다.

 

안과 밖에서 쪼는 행위는 동시에 일어나야 하는데, 스승이 제자를 깨우쳐 주는 것도 이와 같아, 제자는 안에서 수양을 통해 쪼아 나오고 스승은 제자를 잘 보살피고 관찰하다가 시기가 무르익었을 때 깨우침의 길을 열어 주어야 하는데, 이 시점이 일치해야 비로소 진정한 깨달음이 일어난다.

 

원래 민간에서 쓰던 말인데 송(宋)나라 때 《벽암록(碧巖錄)》에 공안(公案, 화두(話頭))으로 등장하면서 불가(佛家)의 중요한 공안이 되었다.

 

 

他山之石(타산지석)

 

사자성어 뜻 그대로를 풀이하면 남의 산의 돌이란 뜻이다. 다른 산의 돌을 자기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남의 말이나 행동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타산지석 가이위착(他山之石可以爲錯)’과 ‘타산지석 가이공옥(他山之石可以攻玉)’에서 ‘타산지석’이 유래했는데, ‘돌’을 소인에 비유하고 ‘옥’을 군자에 비유하여 군자도 소인에 의해 수양과 학덕을 쌓아 나갈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破釜沈舟(파부침주)

 

솥을 깨뜨리고 배를 가라앉히다. 살아 돌아갈 기약을 하지 않고 죽을 각오로 싸우겠다는 굳은 결의를 비유하는 말이다. 즉 배수의 진을 치는 것을 말한다. 

 

이 이야기는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데, 항우가 군사를 이끌고 황하를 건너 배를 모두 가라앉히고 솥과 시루를 깨뜨린 데서 유래하여 ‘파부침주’는 죽을 각오를 하고 싸우는 것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파부침선(破釜沉船)’, 혹은 식량을 버리고 배를 가라앉혔다는 뜻의 ‘기량침선(棄糧沉船)’이라고도 한다.

■ 짧고 좋은 글귀

 

"오늘 하루 최선을 다하고 가장 현명한 판단을 내리며 최고로 아름답게 사는 데 집중하라! 오늘을 잘 사는 것이 나은 내일을 위한 최상의 준비다." 해리엇 마르티노님의 짧고 좋은 글귀입니다.

 

▶ 짧고 좋은 글귀 1

 

아침에 잠에서 깰 때마다 몇 분 동안 느긋하게 있어보세요. 알람 시계가 울렸다면 잠시 침대에 그대로 누워 기분 좋게 기지개를 켜는 거예요. 그리고 오늘을 살게 된 것에 감사하고요. 침대 옆 탁자 위에다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이나 작은 꽃다발을 올려놓을 수도 있을 거예요.

 

아침에 눈뜨자마자 사랑과 기쁨의 감정을 깨우줄 그 어떤 것에 눈길이 닿을 수 있도록 말예요. 그리고 주방에서 커피나 차를 한 잔 즐깁니다. 당신이 기르는 고양이나 다른 애완동물에게도 먹이를 주세요. 창가에 놓인 꽃을 보고 물도 좀 주시고요.

 

그날 당신에게 힘이 될 만한 책을 한 페이지 정도 읽는 것도 좋겠죠. 원한다면 짧게 기도를 해도 되고요. 커피 잔을 들고, 햇살이 비치는 자리나 편안한 장소로 가세요. 집에 혹 작은 발코니나 정원이 있나요? 아니면 겨울에 눈길이 머무는 창가라도 있나요? 그곳에 앉아 정적을 즐기고 이른 아침 상쾌한 공기를 느껴보세요. 시간은 채 10분도 잡아먹지 않을 거예요. 오늘은 좋은 날이 될 거야!

 

 

▶ 짧고 좋은 글귀 2

 

즐거움은 어디에다 두고 왔나요? 때때로 우리는 일에만 파묻혀 사는 자신을 발견하곤 합니다. 코앞에 닥친 문제들을 일단 해결했다 싶으면 늘 해야 할 숙제들이 또 생겨나니까요. 이것이 됐다 싶으면 또 저것을 해야 하죠. 그 사이에 숨 돌릴 여유조차 없습니다.

 

휴가는 어떻게 된 거죠? 쉬는 주말은? 저녁에 영화 보러 갈 계획은요? 좋아하던 일은? 이 순간 우리를 즐겁게 하는 건 뭘까요?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나'를 되찾을 수 있도록 쉬는 것입니다. 그런 여유를 만들어야 할 주체는 자기 자신이고요.

 

당신의 삶에 기쁨을 안겨주는 것은 무엇인가요? 저녁에 친구들과 만나는 것인가요? 이웃집 여자를 도와주는 것인가요? 아니면 두 주 동안 휴가를 내는 것? 그런데 왜 안 하고 있는 거죠?

 

행복은 저절로 굴러들어 오지 않는다. 몸소 발견해야 하는 것이다.

 

 

 

■ 힘을 주는 명언 인생 명언

 

삶에 힘을 주는 명언 인생 명언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힘을 주는 명언과 인생이란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해주는 인생 명언입니다.

 

■ 힘을 주는 명언

 

▶ Many of life’s failures are experienced by people who did not realize how close they were to sucess when they gave up.  -토마스 에디슨 / Thomas Edison

 

인생에서 실패를 한 많은 사람들이 포기를 했을 때가 성공을 얼마 앞두지 않은 시점이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합니다.

 

▶ Immature love says, I love you because I need you, mature love says, I need you because I love you. - 윈스턴 처칠 / Winston Churchill

 

미숙한 사랑은 ‘당신이 필요해서 당신을 사랑한다’ 고 하지만 성숙한 사랑은 ‘사랑하니까 당신이 필요하다’ 고 한다.

 

▶ If you can accept losing, you can’t win. Winners never quit and quitters never win.

- 빈스 롬바르디 / Vince Lombardi

 

만약 패배를 인정할 수 없다면, 당신은 이길 수 없습니다. 승리자는 결코 포기하지 않으며, 포기하는 사람은 절대 승리할 수 없다.

 

 

■ 인생 명언

 

▶ When I hear somebody sigh, “Life is hard,” I am always tempted to ask, “Compared to what?” - 시드니 J 해리스 / Sydney J. Harris

 

누군가 한숨을 지으며 ‘삶이 너무 힘들어’ 라고 하면 나는 항상 물어보고 싶어진다 ‘무엇과 비교해서?’

 

▶ Life is like riding a bicycle. To keep your balance you must keep moving.

- 알버트 아인슈타인 / Albert Einstein

 

인생은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습니다. 균형을 잡으려면 계속해서 움직여야만 합니다.

 

▶ Life has no limitations, except the ones you make. - 레스 브라운 / Les Brown

 

인생에서 한계는 없습니다. 여러분 자신이 만드는 한계만 제외한다면.

■ 책속의 좋은 글귀

 

혜민스님의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 中 2강 인간관계 장의 마지막 구절입니다. 혜민스님의 모든 글귀가 다 좋은 글귀이지만 2강의 마지막 구절은 책속의 좋은 글귀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모든 순간 순간이 관계로 맺어져 있다는 내용입니다. 혜민스님의 책속의 좋은 글귀 시작하겠습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 재물을 숨겨두는 방법에 대해 쓰셨어요.

그 방법이 무척 지혜롭습니다.

"무릇 재물을 비밀스레 간직하는 것은 베풂만 한 것이 없다.

내 재물로 어려운 사람을 도우면,

흔적 없이 사라질 재물이

받은 사람의 마음과 내 마음에 깊이 새겨져

변치 않는 보석이 된다."

 

숨은 내 몸 안으로 들어와 내 몸의 일부가 됩니다.

내가 내쉰 숨은 다시 타인에게 들어가 그의 일부가 됩니다.

이처럼 숨 하나만 보더라도

우리는 서로서로 다 같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원하든 원하지 않든 간에

우리는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나 혼자만 따로 행복해지는 것은

생각할 수도 없다.

 

한 알의 사과 안에는 온 우주가 담겨 있습니다.

땅의 영양분, 햇볕, 산소, 질소, 비, 농부의 땀이 들어 있습니다.

온 우주가 서로서로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내 안에는 그럼 무엇이 들어가 있을까요?

 

감사의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 Recent posts